logo
 
 
 
prev 2024. 03 next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세상에서 가장 큰 떡은 어떤 떡일까요?

어느 날 한 선객(禪客)이 절에 와서 스님들을 시험이나 하듯 문제를 냈습니다.

“집에 작은 솥이 하나 있는데 거기에 떡을 찌면 세 명이 먹기엔 부족하지만 천 명이 먹으면 남습니다.
그 이유를 아시는 분 있습니까 ? ”

선객의 질문에 대중은 아무 말도 하지 못했 습니다.

 

그때 멀찌감치 앉아 있던 ‘도응운거 선사’가 말했습니다.

“자기 배만 채우고 나눠 먹지 않는 사람에게는 항상 음식이 모자라 는 법이지.”

선객이 말했습니다.

 “그렇습니다. 서로 다투면 항상 부족하고 사양하면 남는 법이지요.”

 

이번에는 도응 선사가 그 선객에게 문제를 냈습니다.

“그러면 세상에서 가장 큰 떡이 무엇인 줄 아는가?”

선객이 선뜻 대답을 하지 못하자 도응 선사가 말하기를,

 “입안에 있는 떡이지.”

자기가 먹을 수 있는 떡, 자기 의 깨달음만이 쓸모가 있다는 말일 것입니다.

 

우리는 흔히 누구는 어떻게 해서 소원을 이루었고,

누구는 또 무엇을 해서 소원을 이루었다는 말들을 많이 합니다.

그러나 그것은 남의 떡이지 내 떡일 수는 없습니다.

아무리 다른 사람에게는 맛있는 떡일 지라도 아무리 보기 좋은 떡일 지라도

내 입에 들어가야만 내 배가 부르고, 그것이 진정 내 떡일 것입니다.

남의 떡을 아무리 보고 또 본들 내 배는 부르지 않습니다.


어떻습니까?
이런 것을 불교에서는 ‘화두 (話頭)’라 하고 한답니다.

우리나라 고승 중에서 대학자이자 불교의 대중화에 지대한 영향을 주신 분이 원효대사(元曉大師) 이지요.

원효는 당나라 유학을 가는 길에 해골에 담긴 물을 마신 뒤, “일체가 마음에 달렸다” 고 하면서

크게 깨달아 유학을 포기하고 전국을 방랑하는 유행승(遊行僧)이 되었습니다.

 

‘일체유심조(一切唯心造)’'

즉, ‘모든 것은 마음먹기에 달려 있다’라는 유심(唯心)의 도리를 깨닫게 된 것이지요.

그러면서 원효대사는 미친 듯이 이곳저곳 거리에서 노래하고 춤추며 외치고 다녔습니다.

「수허몰가부위작지천주(誰許沒柯斧爲斫支天柱)」

“누가 자루 없는 도끼를 빌려 줄 것인가!

하늘을 받칠 기둥을 깎으려하네!” 라는 화두로

이렇게 동네방네 노래하며 외치고 다녀도 당시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 뜻을 헤아리지 못하였지요.

 

그런데 태종 무열왕이 풍문으로 들려오는 그 노래를 듣고 그 뜻을 알아 차렸습니다.

무열왕이 말하기를

“원효가 아마 귀한 집 딸을 얻어 어진 아들을 낳으려고 하는구나!

아버지를 닮아 큰 인물이 태어나면 나라에 더 큰 복이 될 것이다.” 라고 했습니다.

 

즉 ‘자루 빠진 도끼’는 ‘과부’를 뜻함이요,

‘하늘을 받칠 기둥’은 ‘국가의 인재’를 뜻함 이었습니다.

그래서 무열왕은 원효에게 줄 적당한 과부를 구하던 중,

마침 오래전 백제와의 전쟁에서 장렬히 전사한 부마(사위)가 생각 났습니다.

그러면서 혼인한지 한 달 만에 남편이 전쟁에 나가 죽어 청상과부가 된,

둘째 딸 ‘요석공주’가 떠올랐던 것이지요.

 

며칠 후, 무열왕은 궁중 내관을 시켜 원효를 불러들이라고 명했습니다.

마침내 요석공주는 달콤한 신혼생활에 빠졌습니다.

“하늘을 받칠 기둥을 깎으려 하는데 자루 빠진 도끼가 어디 없을까요?”

그러자 요석공주가 웃으며 말하였지요.

“대사님은 불심만 깊으 신 줄 알았는데 대목(목수)일도 잘 하시나 봐요?”

 

그리고 그 후, 단 3일간의 사랑이었지만, 요석공주는 배가 불러오고 열 달 만에 아들 ‘설총(薛聰)을 낳았습니다.

후일, 신라10현 의 한사람이며, 우리 옛 문장 이두’를 완성 시켰고

지금도 동국18현으로 성균관과 전국 234곳 향교의 문묘에 배향된 홍유후 설총이 바로 원효의 아들이지요.

요석은 아들을 낳아 원효를 바라보듯 훌륭하게 키우며, 먼 발치에서 몸을 숨기며 소식을 듣고 보곤 했는데,

죽을 때까지 다시는 원효대사와 재회하지 못했다고 전해지고 있습니다.

 

이렇듯 불교에는 수많은 화두가 있다고 합니다.

그러니 어느 하가(何暇)에 그 모든 진리를 연마할 수 있겠습니까?

그래서 우리 모두는 하나의 ‘화두’부터라도 연마해 진리를 '활연대오(豁然大悟)'하면 얼마나 좋을 런지요?

 

* 활연대오(豁然大悟):

뚫린 골짜기 활, 그럴 연/불탈 연, 클 대/큰 대/클 태/클 다, 깨달을 오

 

 * 활연대오의 뜻은
마음이 활짝 열리듯이 크게 깨달음을 얻는 일을 의미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공지 기타 컴퓨터로 TV보기 (종편 및 케이블방송)
공지 기타 신문 잡지 보기
5590 자유글 참된 겸손
5589 자유글 나를 돌아보는 12도(道)
5588 자유글 가을 단상
5587 자유글 언젠가
5586 자유글 인생 편지
5585 자유글 인생은 되돌아 흐르지 않는 강물
5584 자유글 마음에 바르는 약
5583 자유글 지우개
5582 자유글 마지막 모습이 아름다운 사람
5581 자유글 백수의 생존비법
5580 자유글 삶에는 정답이 없다
5579 자유글 마음에 두면 닮아간다
5578 자유글 인생은 내일도 계속된다
5577 자유글 말은 뒤에서 하지 말라
5576 자유글 자신을 들여다보는 삶
5575 자유글 마음을 열면 행운이 들어온다
5574 자유글 나의 가치는 내가 만드는 것이다
5573 건강 발 건강과 증상
5572 자유글 이런 노인이 되게 하소서
5571 자유글 행복한 삶은 자신이 만들어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