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prev 2021. 09 next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노인들의 삶도 가지가지이다.

노선(老仙)이 있는가 하면, 노학(老鶴)이 있고

노동(老童)이 있는가 하면, 노옹(老翁)이 있고

노광(老狂)이 있는가 하면, 노고(老孤)도 있고

노궁(老窮)이 있는가 하면, 노추(老醜)도 있다.

 

노선(老仙)

늙어 가면서 신선처럼 사는 사람이다.

이들은 사랑도 미움도 놓아 버렸다.

성냄도 탐욕도 벗어 버렸다.

선도 악도 털어 버렸다.

삶에 아무런 걸림이 없다.

건너야 할 피안도 없고, 올라야 할 천당도 없고 빠져 버릴 지옥도 없다.

무심히 자연 따라 돌아갈 뿐이다.

 

노학(老鶴)

늙어서 학처럼 사는 것이다.

이들은 심신이 건강하고 여유가 있어

나라 안팎을 수시로 돌아다니며 산천경계를 유람한다.

그러면서도 검소하여 천박하질 않다.

많은 벗들과 어울려 노닐며 베풀 줄 안다.

그래서 친구들로부터 아낌을 받는다.

틈나는 대로 갈고 닦아 학술 논문이며 문예 작품들을 펴내기도 한다.

 

노동(老童)

늙어서 동심으로 돌아가 청소년처럼 사는 사람들이다.

이들은 대학의 평생교육원이나 학원,

아니면 서원이나 노인대학에 적을 걸어 두고 못다한 공부를 한다.

시경, 주역 등 한문이며 서예며 정치 경제 상식이며 컴퓨터를 열심히 배운다.

수시로 여성 학우들과 어울려 여행도 하고 노래며 춤도 추고 즐거운 여생을 보낸다.

 

노옹(老翁)

문자 그대로 늙은이로 사는 사람이다.

집에서 손주들이나 봐 주고 텅 빈 집이나 지켜 준다.

어쩌다 동네 노인정에 나가서 노인들과 화투나 치고 장기를 두기도 한다.

형편만 되면 따로 나와 살아야지 하는 생각이 늘 머리 속에 맴돈다.

 

노광(老狂)

미친 사람처럼 사는 노인이다.

함량 미달에 능력은 부족하고 주변에 존경도 못 받는 처지에 감투 욕심은 많아서

온갖 장()을 도맡아 한다.

돈이 생기는 곳이라면 체면 불구하고 파리처럼 달라붙는다.

권력의 끄나풀이라도 잡아 보려고 늙은 몸을 이끌고 끊임없이 여기저기 기웃거린다.

 

노고(老孤)

늙어가면서 아내를 잃고 외로운 삶을 보내는 사람이다.

이십대의 아내는 애완동물같이 마냥 귀엽기만 하다.

삼십대의 아내는 기호식품 같다고 할까.

사십대의 아내는 어느덧 없어서는 안 될 가재도구가 돼 버렸다.

오십대가 되면 아내는 가보의 자리를 차지한다.

육십대의 아내는 지방문화재라고나 할까

그런데 칠십대가 되면 아내는 국보의 위치에 올라 존중을 받게 된다.

그런 귀하고도 귀한 보물을 잃었으니 외롭고 쓸쓸할 수밖에....

 

노궁(老窮)

늙어서 수중에 돈 한 푼 없는 사람이다.

아침 한술 뜨고 나면 집을 나와야 한다.

갈 곳이라고는 공원 광장뿐이다.

점심은 무료 급식소에서 해결한다.

석양이 되면 내키지 않는 발걸음을 돌려 집으로 들어간다.

며느리 눈치 슬슬 보며 밥술 좀 떠 넣고 골방에 들어가 한숨 잔다.

사는 게 괴롭다.

 

노추(老醜)

늙어서 추한 모습으로 사는 사람이다.

어쩌다 불치의 병을 얻어 다른 사람 도움 없이는 한시도 살 수 없는

못 죽어 생존하는 가련한 노인이다.


인생은 자기가 스스로 써 온 시나리오에 따라 자신이 연출하는 자작극이라 할까

나는 여태껏 어떤 내용의 각본을 창작해 왔을까.

이젠 고쳐 쓸 수가 없다.

희극이 되든 비극이 되든 아니면 해피 앤딩이건 미소 지으며

각본대로 열심히 연출 할 수밖에.... 

당신은 어떤 늙은이에 해당합니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공지 기타 컴퓨터로 TV보기 (지상파 및 종편)
공지 기타 신문 잡지 보기
936 자유글 자신의 삶과 닮은 얼굴
935 자유글 세상을 바꾸는 작은관심
934 자유글 아름다운 꿈은 생명의 양식
933 자유글 덕(德)이란 무엇인가?
932 자유글 사람 사는 일이 다 그렇고 그럽디다
931 자유글 억겁의 인연
930 자유글 인간관계를 좋게 하는 법
929 자유글 이기는 사람과 지는 사람
928 자유글 삶과 행복
927 자유글 아버지 술잔에 채워진 눈물
926 자유글 어느 교수의 질문
925 자유글 인생의 세가지 여유로움
924 자유글 엄마 아빠의 기도
923 자유글 비운 만큼 반드시 채워집니다
922 자유글 5少하고 13多하라
921 자유글 언젠가는...
920 자유글 짧은 삶에 긴 여운이 남도록 살자
919 자유글 구시화문(口是禍門)이란?
918 자유글 행복하다 말하니 행복이 찾아오네요
917 자유글 나는 현대인 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