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prev 2021. 10 next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이청득심(以聽得心)이란

"사람의 마음을 얻는 제일 좋은 방법은 귀를 기울여 남의 말을 경청" 해야 한다는 뜻입니다..

            

왕이 되는 것보다 더 높게 성공하는 경지에 올랐다는 뜻으로 쓰이는 한자에 聖(성)이란 글자가 있습니다.

 

음악의 최고 성취 인을 악성(樂聖) !

최고의 바둑 계  성공 인에 기성(棋聖)!

詩의 최고 경지에 오른 이에 시성( 詩聖) !

인간으로 최고의 경지에 오른 이를 성인(聖人)!

우리는 분야에 따라, 성공한 사람을 이렇게 부릅니다.

 

이렇게 인간이 도달할 수 있는 최고의 성공 경지, 

핵심에 있는 것으로 표현되는 글자인

「聖 자는, 耳(귀)와 口(입) 그리고 임금 王(왕)자,의 3글자의 뜻을 함축한 글자입니다.

인간이 도달할 수 있는 최고의 경지에 성공적으로 올랐을 때만 붙여주는 "聖"자를 쓰는 순서는

耳(귀) 자를 맨 먼저 크게 쓰고 

그 옆에 口(입) 자를 작게 쓴 후, 

마지막으로 임금 王(왕) 자를 아래에 씁니다.

 

耳(귀)를 맨 먼저 쓰는 이유는 남의 마음을 얻기 위해서는 듣는 것이 최우선이기 때문이고

귀로 다 듣고 난 후에 입을 열어야 하기에 입(口) 구 자를 나중에 작게 쓰게 만든 것이고

마지막에 임금 王(왕)자를 넣은 것은 먼저 듣고 나중에 말 한다는 것은 왕이 되는 것 만큼이나 

어렵다는 뜻을 알리기 위함입니다.

 

공자께서도 60세가 되어 서야

"이순(耳順)의 경지에 도달했다"고 말씀했을 정도로 어려운 것이 먼저 모두 다 듣고 나중에 말을 하는 것입니다.

 

以聽得心(이청득심)!

마음을 얻는 최고의 방법은 귀를 기울여 듣는 것이다.

'聖人'은 그리고 성도( 聖徒)는 먼저 남의 이야기와 진리의 소리를!!

그리고 역사의 소리를 모두 다 조용히 경청하고 난 후에 입을 열어 말을 하는 사람입니다.

그러나 열심히 듣는다고 해서 다 들리는 것은 아닙니다.

들을 수 있는 귀를 갖추었을 때 비로소 다 들리게 되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순(耳順)이란 ?

타인의 말이 귀에 거 슬리 지를 않는 경지이며 어떤 말을 들어도 이해를 하는 경지요, 

너그러운 마음으로 모든 걸 관용 하는 경지입니다.

 

말을 배우는 것은 2년이면 족하나, 경청을 배우는 것은 60년이 넘게 걸리는 어려운 일이지만

마음을 얻기 위해, 진리를 깨닫기 위해 지혜를 터득하기 위해서 한 평생이 걸릴 수도 있습니다.

 

귀는 열어 앞에서 하는 말을 경청하고 어떤 말을 하더라도 뒤에서 하는 말은 경청할 필요가 없다 합니다. 

그래서 아마도 하느님께서 귓 부리를 만드셨나 봅니다

이순(耳順)이 지난 나이에도 귀에 거슬리게 들리는 말이 있다는 것은

아직도 자신의 수양이 부족하다는 증거입니다.

 

두 귀는 항상 열려 있어야 하고 하나 밖에 없는 입은 먹기도 하고 말하기도 하며  

수시로 열렸다 닫혔다 하는 것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공지 기타 컴퓨터로 TV보기 (지상파 및 종편)
공지 기타 신문 잡지 보기
3274 자유글 우리 앞에 남은 세월
3273 자유글 서로 기대어 살아가는 우리
3272 자유글 삶의 길목에서
3271 자유글 삶에 귀감이 되는 글
3270 자유글 행복은 언제나 기적이다
3269 자유글 인생 이렇게 살아라
3268 자유글 날씨와 우리들의 삶
3267 자유글 노년의 행복
3266 자유글 좋은 친구는 마음의 그림자처럼
3265 자유글 속담
3264 자유글 우리네 삶의 진실
3263 자유글 ​소통은 귀로 듣고 눈으로 말하는 것이다
3262 자유글 인생의 맛
3261 자유글 인생의 진리는 일상에 있다
3260 자유글 삶이란 그런 것이다
3259 자유글 괴로움속에서 즐거움을 얻어라
3258 자유글 마음을 씻는 8요소
3257 자유글 말과 사람의 품위
3256 자유글 노후는 어디에서 어떻게 보내야 하나
3255 자유글 한번 맺은 인연은 잊지마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