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prev 2024. 07 next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불국사 청운교, 백운교 - 1910년대
복원하기 전 청운교 백운교의 돌계단이 어스러진 상태.
뒤로 다보탑, 석가탑이 보인다.



첨성대 - 1920년대
첨성대 뒷길을 오고가는 사람들...



포석정 - 1910년대
포석정과 바지, 저고리 입은 아이들...



성덕대왕신종(에밀레 종) 이전 - 1915년대
봉황대에 있던 종을 경주고적보존회 (현 경주문화원)로 옮기고 있다.



봉황대의 오솔길 - 1950년대
노동. 노서동 일대의 전경. 봉황대에는 오솔길이 나 있다.



태종 무열왕릉비
비석은 없고 귀부와 이수만 남아 있다.



삼존불 - 1930년대
남산 삼불사에 있는 불상으로 지금은 보호각을 설치했다.



석조약사여래좌상 - 연대미상
경주남산 용장계곡에 있던 불상 지금은 머리와
광배가 복원되어 국립경주박물관에 있다.



석조여래입상 - 1920년대
왕정곡 제2사지 석조여래입상으로 하반신이 땅에 묻혀 있다.
지금은 경주국립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감은사 - 1950년대
북동쪽에서 바라본 모습.



안압지 - 1950년대
남쪽에서 바라본 모습으로 뒷산은 소금강산.
일제때 세운 임해정은1977년에 황성공원으로 옮겼으며, 지금의 호림정이다.



황남동 고분 - 1920년대.
갓 쓰고 한복 입고 나귀 몰고 간다.



황남동 고분 - 1920년대.
죽은 아이를 넣은 옹기를 지게에 지고 묻으러 가는데 일본 순사가 검문한다.



삼 릉.
아이들이 지게 지고 나무하러 가다가 삼릉에서 놀고 있는 모습



경주 집경전 - 1922년대.
조선 태조의 영정을 모셨던 곳으로 1960년대 초까지 건물 일부가 남아 있었다.
사진은 집경전의 비각으로 추정되며 현재 경주여중 교정 동편에는
집경전 옛터라는 비석만 서 있다.



솥전 - 1910년대.
경주 읍성 밖에 장이 열리고 솥 가게에 손님이 많다.



경주 중심가 - 1930년대.
지금의 중앙로에서 대릉원 쪽으로 바라본 모습



경주 기생 - 1914년 4월
경주고적보존회(현 경주문화원)의 온고각 앞에서 기념촬영



스웨덴 쿠스타프 황태자 - 1926년대.
서봉총 발굴 현장을 찾은 스웨덴 황태자 쿠스타프(왼쪽에 안경 쓰고 무릎 꿇은
사람)와 일행. 스웨덴의 한문 표기인 서전(瑞典)과 출토된 금관에 새겨진 봉황
(鳳凰)에서 한 자 씩 따서 서봉총(瑞鳳塚)이란 이름이 명명되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공지 기타 컴퓨터로 TV보기 (종편 및 케이블방송)
공지 기타 신문 잡지 보기
897 유머 할머니와 할아버지의 대화
896 건강 노인 냄새의 정체를 분석한다
895 자유글 마음을 비우고 바라보는 세상
894 자유글 6.25 전쟁일지
893 사진 다시 되새기는 6.25 참상
892 자유글 없는 것에 대한 집착
891 자유글 받는 기쁨은 짧고 주는 기쁨은 길다
890 자유글 무엇이 삶을 아름답게 하는가?
889 유머 엉큼한 할머니
888 사진 아름다운 꽃꽂이작품 감상
887 사진 2015 해운대 모래축제
886 자유글 E-mail 교류를 하며
885 자유글 내 멋진 친구에게
884 자유글 보람과 지혜
883 자유글 비누는 몸을 닦고 눈물은 마음을 닦는다
882 자유글 입사 시험문제 - 당신의 선택은?
881 자유글 친구여! 벗이여! 아프지 마세나
880 자유글 길이 있어 길을 가는 것이 아닙니다
879 사진 아름다운 자연경관 입선작
878 유머 인공호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