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prev 2022. 02 next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자랑스로운

 

大韓民國 旅券

 

여권은 정부가 자국 국민에게 외국 여행을 허가하며

 

소지자의 신분과 국적을 증명하고 외국에서 보호받을 권리와

 

母國으로 재입국할 권리를 보장하는 공식 문서다.

그런데 이 여권을 들고 힘세고 잘사는 나라 입국심사대 앞에

 

줄서서 기다리다 보면 괜히 주눅이 든다. 반면 힘없고 못사는

 

나라 심사대 앞에선 공연스레 의기양양해진다.

 

같은 줄에 서 있어도 강대국 사람의 여권은 고급스러워 보이고,

 

약소국 사람의 그것은 초라해 보인다. 

 

 

 

 

 

 실제로 여권에는 등급이 있다.

 

영국의 컨설팅그룹 헨리앤드파트너스가 전 세계

 

200여 국가의  여권을 94등급으로 분류했다.

 

여권만 있으면 사전에 비자를

 

받지 않고도 언제든 마음대로 방문할 수 있는

 

국가의 숫자, 즉 旅行 자유 정도에 따라 

 

여권 强大國과 弱小國 순위를 매겼다.

 
國力이 강할수록 국민의 여행이 제한받거나 금지당하는

 

나라 숫자가 적다는 데 근거한 것이다. 비자 요건은 국제사회내

 

한 국가의 관계와 位相을 반영한다는 데 착안했다.

 

한국 旅券의 영향력이 미국에 이어 세계 2위인 것으로

 

나타났다. 아시아에서는 1위다.

 
워싱턴포스트는 금융자문사인 아톤 캐피털이 전 世界 199개국을

 

 대상으로‘각 국의 여권만 갖고 무비자 또는 도착비자로

 

방문할 수 있는 국가 수'를 集計해‘패스포트 파워'

 

 순위를 매긴 결과를 15일(현지시각) 보도했다.

 
韓國은 프랑스, 독일과 함께 2위 그룹에 포함됐다.

 

한국 여권으로는 방문 전에 비자를 발급받지 않고

 

145개국에 갈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147개국을 비자 없이 방문할 수 있는 1위 그룹 미국과

 

영국에 이어 최다였다. 3위 그룹(144개국)은 이탈리아와

 

스웨덴, 4위 그룹(143개국)은 덴마크와 싱가포르,

 

핀란드, 네덜란드, 일본 등이었다.


북한은 레바논과 가봉, 캄보디아와 함께 73위를 기록해

 

하위권에 머물렀다. 북한 여권을 소지하고 무비자로

 

入國할 수 있는 나라는 44개국에 그쳤다.

 

그나마 여권 발급 대상은 극히 제한돼 있어 북한 주민들은

 

여권이 뭔지도 잘 모른다.

러시아는 35위로 98개 나라를 무비자로 입국할 수 있고,

 

45위인 중국은 무비자 방문국이 74개 나라다.

 

여권 영향력이 가장 낮은 국가는 80위권의 솔로몬제도,

 

미얀마, 남수단, 상투메프린시페, 팔레스타인 등이었다.

  

이들 여권으로 비자없이 방문할 수 있는 나라는

 

28개국에 불과했다.

 
한 탈북자는 남한에 정착한 후에도 소외감을 느끼곤 했는데,

 

여권을 받은 뒤 그 첫 장을 읽고는 정말 대한민국

 

국민이 됐다는 기쁨에 눈물이 솟구쳤다고

 

 TV 프로에서 밝힌 바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공지 기타 컴퓨터로 TV보기 (지상파 및 종편)
공지 기타 신문 잡지 보기
1028 유머 유머로 풀어보는 속담
1027 건강 뜻밖의 건강 상식
1026 자유글 보면 기분 좋아지는 그림과 웃음 명언
1025 유머 `지`자로 끝나는 신체부위는?
1024 자유글 참 어렵습니다
1023 사진 재미있는 착시 사진들
1022 자유글 삼대불변의 이치(三大不變의 理致)
1021 유머 지하철 경로석
1020 자유글 세월아 내 뒤를 따라 오렴
1019 유머 재미있는 유머모음
1018 유머 청상과부의 속도 모르고
1017 건강 따뜻한 물의 효능
1016 유머 띄어쓰기를 잘 합시다
1015 사진 청송 주산지의 가을 풍경
1014 사진 가을단풍 감상
1013 건강 겨울철 약이 되는 운동과 독이 되는 운동
1012 건강 전립선 비대증 자가 체크법
1011 자유글 인생에서 기억해야 할 지혜
1010 자유글 아내란...
1009 건강 저체중 · 만성피로는 암과 치매의 ‘경고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