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prev 2024. 11 next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1.관명[이름]
사람이 태어나면 부모[조상]가 이름을 지어준다.
그이름을 그대로 호적에 올리면 바로 관명이된다.
어떤 사람은 이름이 두 개가 있는 수 도있다.
예컨데 호적에 오르지 않은 다른 이름은 아명이라한다.
모르는사람은 그것을 호라고하지만 그건 틀리는 말이다.

이름이란 살아있으면 함(銜)자라고하고 죽으면 휘(諱)자라고한다.

 예시 : 1  상대방의 어른의 이름을 물을 때.
                 <생존시> 자네 어른 함자가 무었이냐 ?
                 <사망시> 자네 어른 휘자가 무었이냐 ?


 예시 : 2  아버지의 이름 호칭은 원어 그대로 부르지 못한다.
                <생존시>우리아버지의 함자는 0 자 0 자 입니다.
                <사망시>우리 아버지의 휘자는 0 자 0 자 입니다.
 
2. 자(字)
이름 대신에 불리워지는 호칭어를 바로 자라고한다.
자는 부모나 집안 어른이 지어주는데 자가 있으면 곧 어른이 되었다는 증표이다.
자는 성인[16세이상]이 되어 관례를 치르면 자를 부여한다.
자를 부여하면 어른으로써 사회활동을 할 수 있다는 뜻이다.
자는 이름대신에 부르도록한 명사이다.
사람을 부르느데 있어서는 그 이름을 불러야 마땅하지만 때로는 어색하거나 결례가 되는 수가 있다.
그래서 관명 대신에 자를 불러주는 것이다.
호에는 존칭이 붙지만 자에는 존칭은 쓰지 않는다.
자를 서로 호칭하는 사이는 동료지간이나 아랫사람에게만 쓰인다.

 예시 : 퇴계는 권질의 사위다. 결혼전 그의 장인 권질이 한말은 다음과같다.
            <경호 이사람 !. 자네가 내딸을 맡아 주어야겠네....>[전처를 상처하고 솔권을 못하고 있을 때 재취를 권하면서]

3. 호(號)
이름과 자 이외의 호칭.
호는 아무나 있는게 아니다.
덕망이 특출하거나 학문 또는 예술이 뛰어나 지방이나 전국적으로 이름이 난 사람이래야만 호가 있다.
호는 남이 지어 주는 수도 있지만 대개 자기가 직접 짓는다.
남이 지어주는 송찬(頌讚)은 그사람의 인품이나 자질에서 호를 가질만한 사항을 들어 찬문과 함께 호를 만들어 준다.
대체적으로 호는 자기가 짓는 것이 더 많다.
퇴계도 자호하여  퇴계. 도옹. 도수. 퇴도.등 여러 가지로 ?다.
그런데 요즈음은 왼만한 사람이면 모두 호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흔한 서예학원에 들어가기만 하면 호를 만드는데 이들이 호를 못가지란 법은 없다.
다만 책을 펴낸 문인이나 서예학원에서 글씨 쓰거나 문인화를 치거나 관계없이 국전에 입선되어 전국이 알수 있다면 호를 쓰는것도 무방하다.
호에는 시호(諡號)가 있는데 시호란 국가에서 내리는 호를 말한다.
여기에도 송찬 글을 붙혀서 그사람이 국가에 기여한 공적을 감안하여 문순. 문충. 문경.충무등의 이름으로 죽은 뒤에 내린다.
학봉의 시호는 문충공(文忠公)이다.
道德博聞曰 文. 危身奉上曰 忠 이란 글에서 그 끝자를 들어 <文忠>이라 한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265 조선말 영상자료와 해설
264 우리나라 옛다리
263 육십갑자(六十甲子)
262 세계 224개국 평균수명
261 상식이 된 외래 신용어 익히기
260 지구에서 가장 유명한 장소
259 세계의 국경 50군데
258 지구촌 기이한 도로들
257 통계로 풀어본 지구촌
256 알아두면 유용하게 활용할 생활 상식 40가지
255 우리가 모르고 있는 사실
254 추석 차례상 차림법
253 우리가 잘 몰랐던 사실 24가지
» 이름의 유형 - 아명, 관명, 자, 호
251 본관, 관향, 고향의 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