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prev 2022. 03 next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일본으로 떠나는 덕혜옹주 (1925년3월28일 촬영)



삼전에 참배하기 위해 영친왕과 함녕전을
나서는 고종의 모습(1918년1월15일 촬영)




위의 기념 촬영 사진에는 이왕직 관리들과 중추원 인사들,
총독부 관료들과 일본 군인과 경찰 고위 관계자들이
참석하여 총 3장의 기념 사진을 찍었다.
그 중 이 사진은 일본 인사들이 중심이 된 사진으로
당시 조선을 지배하던 인물의 면면을 보여준다.



도자기에 휘호하는 영친왕


사진기로 창경원 하마를 촬영하는 영친왕


수업을 마친 덕혜옹주가 교문을 나와 마차에 오르려
하는 모습을 찍었다.
일본 풍의 교복 치마를 입고 머리에는 양식 모자를
쓴 그는 다소곳이 고개를 숙인 모습이다.
뒤에는 한복을 입은 시종이 겉옷을 들고
따르고 있다. (1925년 촬영)




군복 차림의 영친왕이 1918년 1월 25일 경성유치원을
방문한 자리에서 찍은 사진이다.
당시 사진첩 기록을 보면 그는 원아들의 재롱 섞인
유희를 감상했다고 한다. 원아 가운데는 그의 형제
의친왕의 아들인 이우가 포함되어 있었다.




영친왕이 조선 방문을 마치고 당시 남대문역(현 서울역)에서
부산행 열차를 타기 직전의 모습이다.
연미복을 입은 수행원들과 함께 거수 경례를 하며
플랫폼을 걷고 있다.(1918년 1월 26일 촬영)



1919년 2월 9일 고종 황제가 승하한 거처인 창덕궁
함녕전에서 일본 왕가 장례의식인
봉고제(장례를 하늘에 알리는 의식)가 열렸다.
사진은 함녕전에 차려진 일본 신사풍의 제단 앞에서
황실 유족과 일본 제관, 총독부 관계자들이 의식을
치르는 장면이다. 정면 깊숙이 황제의 거처 쪽에
일본식 제단을 중심으로 일본 전통 복식을 입은
제관이 가장 앞 자리에, 조선의 전통 굴건 제복을
차려입은 유족이 그 뒤에 어색하게 선 모습은
쇠락한 황실의 처지가 도드라진다.
왼쪽 문 바로 안에서 힐끗 카메라를 보고 있는
인물이 당시 총독 하세가와다.
그 옆에 화려한 견장의 제복을 입은 정무 총감
야마가타의 모습이 보인다. 고유의 왕실 의례조차
일본식을 강요당했던 당시 황실의 실상을 단적으로
증언하는 사진이다.



주한 이탈리아 공사 카를로 로제티의 '꼬레아
꼬레아니'(1904), 우리나라에 왔던 미국 선교사
호머 헐버트(1863~1949)의 '대한제국멸망사'(1906)
등에 실린 명성황후의 사진이다.
호머 헐버트씨는 1906년 발간된 `한국 견문기'
138쪽에서 `궁녀'라고 소개(왼쪽).
오른쪽 사진은 독일 출신 작가의 사진첩에서 나온 것이다.
'시해된 왕비'라는 뜻의 독일어(Die Ermodete Konigin)
설명이 붙어 있고 대원군의 평상복 사진과 배경이
같아 일부에서는 명성황후로 추정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미 1890년대 초반 발간된 미국 국립박물관
보고서, 영국 잡지화보 등에 '조선의 궁녀'라는 설명과
함께 실린 사실이 확인되었다.


아래 왼쪽 사진 : 고종과 순종,
오른쪽 : 독일어로 ‘Palastdame’(궁녀),
영어로 ‘ Attendant on The King of Korea'
(조선 왕의 시종)란 설명이 붙었음.
그 아래 왼쪽 사진 : 대원군 이하응
오른 쪽은 중국풍 복식 차림의 대원군 이하응


상중의 이건 연미복을 입은 고종 황제


영녕전 참배 의식 중인 영친왕


경성 일출심상소학교 시절 마지막 날의 덕혜옹주


송별회장에 전시된 덕혜옹주의 작품으로 , 자수와
서화에 남다른 소질이 있었다고 전한다.


덕혜옹주와 동급생, 선생님이 모여 기념사진을 찍었다.


홍릉 입구의 홍살문 : 홍릉에 배치된 3조의 홍살문 중
하나로 현재 전하지 않는 문이다.


융희황제(순종) 장례식(국상)에 참여한 나인들
- 재궁의 봉안을 마치고 내려오는 나인들의 모습 -


융희황제(순종) 장례식(국상),
인산습의 광경을 사진사가 카메라에 담고 있다.


금곡으로 향하는 인산 행렬 - 인산 행렬 중의 죽안거마




.
황실 가족 사진 : 고종을 중심으로 순종과 순정효황후,
영친왕, 덕혜옹주를 담고 있는 이 사진은 1918년 1월 21일
촬영된 것이다. 당시 발행된 매일신보는 이 사진에 대해
모두 모여 함께 일본 요리로 식사를 한 후 찍은
사진이라고 전한다.

즉 영친왕의 일시 귀국을 기념하는 가족 사진인 것이다.
사진은 덕수궁 석조전 내부를 배경으로 하고 있어
세부 장식까지 자세히 엿볼 수 있다.



석조전 오찬에 나아가는 고종 : 가마에 탄 고종이
영친왕 방문 기념 오찬회에 참석하기 위해 이동하고 있다.


배에서 내리는 영친왕 : 영친왕이 이하계의 안내로 배에서
내리며, 거수경례로 마중 나온 관민들에게 답하고 있다.



총독 관저 내부로 들어가는 영친왕.
영친왕이 윤덕영 자작(오른 쪽)과 총독부 관리들의
인사를 받으며 총독 관저로 들어가고 있다.


남대문에 도착한 영친왕.
1918년 1월 13일 오후 9시경 남대문역에 도착한 영친왕이
2대 총독인 하세가와 요시미치와 인사를 나누고 있다.




운현궁 양관 : 운현궁 내에 자리 잡은 양관은
일본인이 설계 시공한 건물로, 흥선 대원군의 손자 이준용의
저택으로 사용되었다.

그 후 의친왕의 차남인 이우의 소유였다가,
해방 이후인 1946년에 학교법인 덕성학원이 소유하게 되면서
현재 덕성여자대학교 평생교육원 사무처로 사용되고 있다.




덕수궁 석조전 : 대한제국 초기에 지어진 대표적인
서양식 건물로 영국인 기사 하아딩(G.R.Harding)의
설계에 의해 1900년말 착공되어 1910년 6월 완성되었다.
1층(반지하)에 시종인들의 거실을 두고 2층에 접견실과 홀,
3층에 황제와 황후의 침실, 거실을 두었다. 19세기 고전주의적
양식을 답습하여 총 면적 1,264평으로서 일제 강점기 전 기간 중
가장 규모가 큰 석조건물로 세워졌다.

이후 석조전은 고종이
주로 외국 사신을 접견하는 장소로 쓰다가 1933년부터 창경궁
이왕가 박물관의 분관으로서 일본 근현대미술품을 전시하는
장소로 전용되었다. 뒤이어 1938년 개관된 석조전 신관에
이왕가 박물관의 전통 미술품이 전시되고 2동의 건물 모두가
전시장으로 쓰였다. 대한제국 황실의 생활 공간이 전시공간으로
전락하게 된 것이다.



창덕궁 상궁들과 기모노 복장의 일본 여인.
한국 사진계의 선각자인 백오 이해선(1905-1983) 선생 탄신
100년 기념으로 선생이 생전에 촬영한 사진 작품이다.


이방자 여사와 함께 받은 덕혜옹주의 생일상.
구한말 황실의 모습을 보여주는 희귀 사진이다.
최진연 대한사진예술가 협회 회장은 그 동안 공개되지
않았던 조선 황실 사진을 공개했다. 1962년 일본에서 귀국한
덕혜옹주가 생일을 맞아 이방자 여사와 함께 촬영한 사진이다.


이 사진은 한국 사진의 선각자이자 흥완군(대원군의 형)의 손자
고 이해선(순종의 육촌 형제, 민영환의 사위) 선생의 유품 속에서
발견된 것으로, 당시 조선 황실의 사정을 잘 보여주고 있다.



오열하는 궁녀들.
조선 마지막 순종효황후 윤씨의 승하일, 창덕궁 낙선재에서
황실의 궁녀들이 오열하고 있다.



구한말 한 자리에 모인 황족.
왼쪽부터 덕혜옹주, 이방자 여사, 윤황후, 순종, 영친왕 ,
영친왕의 아들 이진, 이진을 안고 있는 사무관



대원군의 62세 생일 기념 사진.
이 사진은 1882년 8월 한성 관무처에서
62세 생일 기념으로 찍은 사진이다.



조선의 마지막 황제 순종의 장례식.
고종과 명성황후 사이에 태어난 순종은
1875년 왕세자로 책봉되었다.
"일명을 겨우 보존한 짐은 병합 인준의 사건을
파기하기 위하여 조칙하노니, 지난 날의 병합 인준은 강린
(일본)이 역신의 무리(이완용 등)와 더불어 제 멋대로 만들어
선포한 것이요, 다 나의 한 바가 아니라.
오직 나를 유폐하고 나를 협제하여 나로 하여금 명백히
말을 할 수 없게 한 것으로, 내가 한 것이 아니니 고금에 어찌
이런 도리가 있으리오. 나 구차히 살며 죽지 않은 지가 지금에
17년이라. 종사의 죄인이 되고 2천만 생민의 죄인이 되었으니,
한 목숨이 꺼지지 않는 한 잠시도 잊을 수 없는지라, 유인에
곤하여 말할 자유가 없이 금일에까지 이르렀으니…."


조선 마지막 황제 순종의 장례식.
1926년 4 월 25일(음 3월 14일) 오전 6시 15분,
대한제국 마지막 황제 순종(純宗)은 피맺힌 한을 토하는
유언을 남기며, 창덕궁 대조전에서 53세로 숨을 거뒀다.
고종에게 전위 받은지 20년, 일제에 국권을 피탈 당하고
17년의 세월이 흐른 때였다
1907년(광무11년) 7월 19일(음 6월 10일) 헤이그 밀사 사건으로
고종은 일제의 압박에 의해 물러났다.

.
그 해 일제는 한일신협약(정미 7조약)을 강제로 체결했다.
1906년 2월에 이미 통감을 설치해 국정을 간섭하게 됐으니,
조선은 망국의 길에서 돌이킬 수 없는 사태에 이른 시점이었다.
통감 설치 이후 일본인이 정부 각처의 차관으로 임명되고
행정력을 모두 장악하는 차관 정치를 실시한다.
이어 일제는 1908년 경제 수탈을 위한 동양척식주식회사를
설립한다. 1909년 법부와 군부를 각각 폐지해 사법권과
군수통수권까지 일본에 넘어갔다.
일제가 조선에서 빼앗을 것은 국권 밖에 남지 않은 상태였다.
거센 폭풍우 몰아치는 들판에서 깜박거리는 등불이었던
조선은, 1910년 8월 29일 이완용, 송병준, 이용구 등
친일 매국노가 앞장선 한일합방 조약이 맺어지면서, 불이
꺼지고 만다. 대한제국 멸망 후 순종(1874~1926)은 강제로
황제 자리에서 퇴위 당하고, 일본 천황가의 하부단위 '창덕궁
이왕(李王)'으로 격하되어 창덕궁에 갇혀 한 많은 세월을 보냈다.



고종이 숨을 거둔 1919년, 일제에 의해 독살 당했다는
소문에 민심이 흉흉해지고 3·1운동의 촉발 원인이 되었다.
그 이전인 1898년 커피를 즐기던 고종과 황태자 순종의
커피에 독을 넣었다는 일제 독살설도 있었다.


커피 맛을 잘 아는 고종은 한 모금 마시다가 뱉어버렸지만
순종은 다 마셔버려 두뇌에 이상이 왔다는 독살 미수사건의
일설도 전해진다.

1926년 4월 25일 승하한 순종은 27일 소렴을 하고, 29일
대렴을 마친 뒤 , 빈전(殯殿, 발인 전까지 관을 두는 곳)을
창덕궁 선정전에 설치한다. 경기도 남양주시 금곡동

고종의 홍릉 경역 왼쪽 줄기에 능을 정하고, 5월 7일부터
산역을 시작했다. 순종의 능호 역시 고종과 마찬가지로
일제가 승인할리 없었고 황실은 고종과 마찬가지로

편법을 동원하였다.






 



창경궁 궁내부 사진



운현궁 양관 : 마지막 황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325 불교상식
324 시사용어 풀이
323 조선8도의 지리적 특성
322 노예제도와 한반도 수난의 역사적 고찰
321 2019년 최신 총인구 통계
320 속담 모음
319 성씨별 통계
318 세계를 바꾼 20인은 누구인가?
317 일본식 한국말
316 세계 제일
315 한국 남녀 세계 1위 기록들
314 역대 올림픽 개최국 순위
313 남녀관계 속담 모음
» 마지막 황실, 잊혀진 대한제국
311 유럽의 격언·속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