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두운 감옥에 갇힌 무기수가 있었습니다.
절망의 나날이었지만 그는 한 줄기 빛을 찾으려고 애를 썼습니다.
그는 교도소장에게 한 가지 부탁을 했습니다.
"교도소 마당 구석에 채소밭을 일구게 해 주십시오"
첫해에는 양파와 같은 채소를 심고 다음 해에는 작은 묘목을 심고 장미 씨도 뿌렸습니다.
한 해 두 해 지날 때마다 보람과 기쁨을 느끼며 정성스럽게 밭을 일구었습니다.
새싹이 돋고 꽃을 피우는 식물에서 작은 위안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그는 바깥에서 했던 것처럼 매일 꾸준하게 운동도 했습니다.
다른 죄수들이 운동을 따라 하기 시작했습니다.
이러한 행동은 교도소의 열악한 환경까지 개선하게 만들었습니다.
교도소 내에서 그의 명성은 점점 높아졌고 그렇게 27년의 세월이 흘렀습니다.
그가 가석방으로 풀려나가자 많은 사람이 눈물을 흘리며 기뻐했습니다.
남아프리카 공화국 첫 흑인 대통령인 넬슨 만델라의 이야기 입니다.
만델라는 타고난 희망주의자였습니다.
종신형을 선고받자 사형이 아니어서 다행이라고 여길 정도였습니다.
그는 정치범으로 독방에 갇혀 있을 때 어머니를 잃고, 큰아들이 교통사고로 죽었습니다.
가족들이 강제로 흑인 거주 지역으로 이주되고 둘째딸은 심한 우울증에 시달렸습니다.
그렇게 감옥에 있은 지 14년째 되던 해에 딸에게서 손녀의 이름을 지어달라는 편지를 받았습니다.
며칠 뒤 면회 온 딸에게 만델라는 작은 쪽지를 내밀었습니다.
그 쪽지에 적힌 손녀 이름을 보고 딸은 눈물을 흘리고 말았습니다.
손녀의 이름은 '희망(아즈위; Azwie)'이었습니다.
절망하지 마라.
당신을 좌절의 감옥에 가둘 이는 아무도 없습니다.
당신을 가둘 수 있는 사람은 오직 당신 자신뿐입니다.
스스로 희망을 버리지 않는 한 그 누구도 당신에게 그것을 빼앗아 갈 수 없습니다.
만델라는 교도소 안에서도 장미를 키우듯 자신의 희망에 물을 주었습니다.
그 희망은 나중에 국민의 희망으로 자랐고 인류의 희망이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