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prev 2024. 06 next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우리들 마음에 지워지지 않는 발자국을 남긴 종교계의 큰 어르신으로,

성철 스님(1912~1993), 한경직 목사님(1902~2000), 김수환 추기경님(1922~2009),

이 세 분을 꼽는데 별 이견이 없을 것입니다.

 

이 세 분은 각기 다른 종교를 떠받치는 기둥이었으며, 그분들을 한데 묶는 공통 단어는 청빈입니다.

성철 스님은 기우고 기워 누더기가 된 두벌 가사를 세상에 두고 떠나셨고,

한국 대형교회의 원조인 영락교회를 일으킨 한경직 목사님이 남긴 유품은 집도 통장도 남기지 않고

휠체어, 지팡이, 겨울 털모자 달랑 세가지 였으며,

김수한 추기경님이 세상을 다녀간 물질적인 흔적은 신부복과 묵주 뿐이었습니다.

 

얼마 전 추기경님의 또 다른 유품은, 기증한 각막을 이식받고 시력을 되찾은 어느 시골양반이

용달차를 모는 사진 있었습니다.

알고 보면 이 세 분은 모두 가난한 부자들이었습니다.

아니 어마어마한 유산을 물려준 엄청난 재산가였다고 해야 맞을 것입니다.

 

성철 스님이 열반한 뒤에 스님의 삶이 알려지면서 불교를 바라보는 세상의 눈길이 달라졌고,

한경직 목사님이 작고한 이후 개신교는 또 한차례의 중흥기를 맞아 신도 수가 크게  늘었으며,

김수한 추기경 님이 천주교를 이끌던 시절 신도 수가 가파르게 증가 했습니다.

세 분은 부처님의 가르침과, 예수님의 말씀을 전하던 분이 아니라,

그분들의 삶을 그대로 살아보고자 했던 분이었으며, 그리고 온몸으로 보여 주었습니다.

세상을 떠난 다음, 세 분의 향기는 신도의 울타리를 넘어 일반 국민들 사이로 깊고 멀리 번져 나갔습니다.

 

성철 스님은 늘 신도들의 시주를 받는걸 화살을 맞는 것(受施 如箭) 만큼 아프고 두렵게 여기라고 가르쳤습니다.

쌀을 씻다 쌀이 한톨이라도 수채구멍으로 흘러간 흔적이 보이면,

다시 주워 밥솥에 넣으라고 불호령을 내렸습니다.

불교계의 큰 어른인 종정직을 오래 맡았지만, 중 벼슬은 닭 벼슬만도 못하다며 항상 종정자리를 벗어날 틈을

찾기도 했습니다.

 

한경직 목사님은 설교 중에 몇번이고 신도들을 울리고 웃기는 능변과는 거리가 멀었습니다.

그런데도 전설적인 목회자로 존경받는 것은, 그의 삶이 설교의 빈 구석을 채우고도 남기 때문입니다.

한 신도가 한경직 목사님이 추운 겨울 기도를 하다 감기에 걸릴까 염려해서 오리털 잠바를 선물 했는데,

얼마 후 영락교회에서 백병원 쪽으로 굽어지는 길목에서,

바로 그 잠바를 입은 시각장애인이 구걸을 하고 있었습니다.

목사님 아들도 같이 목회자의 길을 걷고 있지만, 후계자라는 말은 흘러 나온 적이 없습니다.

 

김수한 추기경님이 남긴 인생 덕목에 '노점상'이란 항목이 있는데,

''노점상에게 물건을 살 때 값을 깎지마라.

그냥 주면 게으름을 키우지만, 부르는 값을 주면 희망을 선물 한다는 것이다.''

말씀대로 추기경님은 명동의 노점상 앞에 가끔 걸음을 멈추고  묵주를 샀습니다.

"짐이 무거워 불편하다면 욕심이 과한 것이다. 덥석 물건부터 집지 말고 시장 안을 둘러 봐라.

한번 사버리고 나면, 바로 헌것이 되니 물릴 수가 없다. 내가 가지려 하는 것 부터 남에게 주어라.

준비가 부족한 사람은 어려운 세월을 보낸다.

남루한 노인이 운영하는 작고 초라한 가게를 찾아서 물건을 고르고, 고마운 마음으로 돈을 내밀어라."

 

이 세 분은 일편 단심으로 자신이 믿는 종교의 가르침을 널리 펴고 실천하면서도,

다른 종교에 대해 이렇다 저렇다 말씀을 한 적이 없습니다.

성철 스님은 여러 종교의 경전에도 두루 관심을 보였습니다.

한경직 목사님은 교파의 경계를 넘어서는 교회일치 운동을 하셨고,

김수한 추기경님은 성철 스님의 부음을 접하고 누구보다 먼저 조전을 보냈습니다.

 

오늘의 문제를 풀기 위해 멀리 밖에나가 배울 필요가 없습니다.

고개를 들면 스승의 얼굴이 보이고, 고개를 숙이면 그 분들의  생애가 펼쳐져 있습니다.

세상을 비추던 세 분의 발 자취를 따라가 보면

종교가 세상을 걱정하던 시절로 돌아가는 문이 활짝 열려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공지 기타 컴퓨터로 TV보기 (종편 및 케이블방송)
공지 기타 신문 잡지 보기
» 자유글 한국 종교계를 이끌었던 세 분의 발자취
3934 자유글 노년이라는 나이
3933 자유글 여섯 가지의 감옥
3932 자유글 삶의 역설
3931 자유글 덕이 있는 자는 외롭지 않다
3930 자유글 지혜로운 스님 이야기
3929 자유글 고난과 역경은 행복이다
3928 자유글 몸은 전셋집 이다
3927 자유글 만남의 의미
3926 자유글 인(因)은 씨앗이고 연(緣)은 열매다
3925 자유글 만족함을 찾아 헤매지 말라
3924 건강 건강 비법인 구상 양생법(九常 養生法)
3923 자유글 삶이란 즉흥연극이다
3922 자유글 평생 사라지지 않는 행복
3921 자유글 口是禍之門(구시화지문)
3920 자유글 삶의 다짐
3919 자유글 얼마나 멋진 인생입니까?
3918 자유글 매일 같은 길을 걸어도
3917 자유글 기러기의 세 가지 덕목
3916 자유글 인생을 일곱 가지 무지개 빛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