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prev 2024. 06 next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영국 런던의 어부들은 북해에서 잡은 청어를 싱싱하게 살려서 런던항까지 가지고 오는 것이 큰 숙제였다.
청어란 녀석은 성질도 급하고 장거리를 수조 속에 갇혀서 이동해야 하기 때문에 오는 도중

대부분 죽고 마는 것이었다.
그런데 그 많은 어부들 중 한 어부만은 늘 살아있는 싱싱한 청어를 가져와서 비싼 값에 팔아 큰돈을 벌곤 했다.
다른 어부들이 그 비결을 가르쳐 달라고 졸랐지만 비밀이라며 가르쳐 주지 않다가 어부들의 끈질긴 설득 끝에

결국 비밀을 털어 놓았다.

바다메기가 청어를 잡아먹는 점을 이용한 것이었다.
청어가 담겨 있는 수조에 바다메기 두세마리를 넣어두면 수백마리의 청어는 메기에게 잡아먹히지 않기 위해

필사적으로 도망을 다니게 되고 결국 이것이 청어의 생명을 연장시키게 된 것이다.
즉 메기 때문에 생명의 위협을 느낀 청어는 살기 위해 끊임없이 움직여야 했고 이것이 청어가 살게 된
원동력이 된 것이었다.

대추나무에 대추를 많이 열리게 하려면 염소를 매어 놓는다고 한다.
묶여있는 염소는 특성상 잠시도 그냥 있지 않고 고삐를 당기며 나무를 흔들어 괴롭히게 된다.
그러면 대추나무가 잔뜩 긴장하면서 본능적으로 위협을 느껴 자손을 번식시키려는 필사적인 노력을 하게 되고

그래서 대추를 많이 열도록 한다는 것이다.

우리 몸도 그냥 편하게 놔두면 급속히 쇠퇴하고 질병과 노화에 취약해 진다고 한다.
적게 먹고 많이 움직이고, 굽혔다 펴기도 하고, 흔들어 주고 문질러 주고 비틀어 주기도 하여야

생기가 더욱 발랄해지고 건강이 유지되어 오래 살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노자는 이러한 논리를 귀생(貴生)과 섭생(攝生)으로 설명했다.
‘귀생’은 자신의 생을 너무 귀하게 여기면 오히려 생이 위태롭게 될 수 있고,
섭생은 자신의 생을 억누르면 생이 오히려 더 아름다워질 수 있다.

선섭생자, 이기무사지
(善攝生者, 以基無死地)
“섭생(攝生)을 잘 하는 사람은 죽음의 땅에 들어가지 않는다.” 라는 말이다.

운동을 하는 것도 일종의 섭생이다.
운동이 어디 즐겁기만 하던가?
땀 흘리고 노력해야만 운동의 효과가 있는 것 아니던가?
북해 청어의 경우처럼 내 몸을 적당히 고생시키는 ‘섭생’이 ‘건강’한 삶을 유지시킬 수 있음을 설파한

노자의 지혜를 항상 잊지 말아야 겠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공지 기타 컴퓨터로 TV보기 (지상파 및 종편)
공지 기타 신문 잡지 보기
3990 자유글 행복은 고마운 마음을 품고 사는 것
3989 자유글 오월이 오면 생각나는 이름 어머니
3988 자유글 5 少 하고 13 多 하라
3987 자유글 반드시 밀물 때는 온다
3986 자유글 황제의 밤일
» 자유글 귀생(貴生)과 섭생(攝生)
3984 소식 송죽회보 제117호(2020-2호) 발간배포
3983 자유글 빈손의 의미
3982 자유글 카톡 줄임말
3981 사진 재미있는 지구촌 화제
3980 자유글 인생후반 '유종의 미'를 꿈꾸며 살아가자
3979 자유글 정성껏 말하면 마음의 소리가 들린다
3978 자유글 어떻게 죽을 것인가? - 소설가 김훈
3977 자유글 지혜의 향기
3976 자유글 큰 돌과 작은 돌
3975 건강 무병장수의 비결
3974 자유글 내일을 위해 오늘을 불행하게 보내지 말라
3973 자유글 '더' 와 '덜' 의 차이점
3972 자유글 모든 것은 지나간다
3971 소식 2020년도 신, 구 동기회 회장 업무 인계 인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