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prev 2024. 04 next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극동방송에서 미국의 어느 무명 참전 용사의 이야기가 흘러 나왔다.

 

90세로 양로원에서 홀로 오랜 세월 외롭게 사시다가 죽음을 맞이했는데

단 하나 밖에 없는 딸도 병으로 장례식에 참여할 수가 없는 상황이었는데

그의 이름은 헤즈키아 퍼킨스 였고 우리나라 6.25 참전 용사였다,

 

그는 이미 오래 전에 오하이오주의 신시내티에 소재한 스프링 그로브 묘지 측에

후일에 있을 자기 장례에 대한 모든 경비를 지불하고 장례식까지 의탁해 놓았는데

묘지측은 쓸쓸한 장례식장을 대신하여 이 무명 참전 용사의 장례식을

지역 주민들에게 알리기로 결정하고 이런 공지를 내었다.

“건강상의 문제로 장례식에 참여할 수 없게 된 유가족들을 대신하여

젊은 시절 한국을 위해 싸운 미 군인의 상주 역할을 부탁드립니다.”

 

장례식 바로 하루 전에 낸 공지사항이었기에

과연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올지 사실 알 수 없는 상황이었는데 기적이 일어났다.

수천 명의 지역 주민들이 참석하였다,

 

한 번도 본 적이 없는 무명의 6.25 참전 용사이고

나이가 90이 되어 늙고 병들어 외로이 여생을 마감했고

장성도 아니고 장교도 아니고 더더구나 전쟁 영웅도 아닌 데도 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천 명의 지역주민들이 생전에 6.25에 참전한 무명의 용사에게

무한한 존경을 표하기 위해 기꺼이 찾아 와 주었다.

 

포트 부대의 군인들이 성조기를 접어 유가족에게 전달하는 국기 의식을 정식으로 거행하고

군악대의 나팔 연주, 미국인들의 대표적 영적인 찬송가인 어메이징 그레이스 찬양,

수백 대의 오토바이의 호위, 수백 대의 차량 행렬, 깔끔하게 제복을 입은 퇴역 군인들의 숙연한 경례 속에

장례식이 끝난 후 2시간이 지나도록 조문객들의 행렬이 이어지는 등

그야말로 한 편의 드라마와 같았다고 한다.

 

이것이 바로 미국의 힘인 것 같다,

선진국은 그냥 국민소득 3만 달러가 되면 저절로 선진국이 되는 것이 아니다.

미국에서 가장 신뢰받는 직종이 군대이며,

미국민들은 자기 나라의 군대를 절대적으로 신뢰하고

군복무를 가장 명예롭게 여기고 군복무한 사람들에게 베푸는 특전이 많으며

대중교통을 이용하다 군인이 타게 되면 얼른 일어나 자리를 양보해 주는데

국방을 지키는 군인들을 그 만큼 존중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자국도 아니고 먼 나라 대한민국의 6.25 무명 참전 용사에게 까지도

미국시민들이 표하는 무한한 존경과 사랑은 우리들의 가슴을 뒤흔든다.

마음속에 가득한 것이 결국은 표출되는데, 미국시민들의 위대한 시민의식과 그들의 삶 속에

뿌리 잡혀져 온 오랜 그들의 태도가 바로 선진 시민의식이고 미국의 힘인 것 같다.

 

자칫하면 그 어느 장례식장 보다 더 쓸쓸한, 누구 하나 찾아오는 사람이 없을 뻔한 장례식장을

이 세상 그 어느 장례식장 보다 더욱 엄숙하고 숙연한 의미 있는 장례식장으로 만들어 준

미국시민의 힘이 참 부럽다는 생각은 비단 나 혼자만의 생각일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공지 기타 컴퓨터로 TV보기 (지상파 및 종편)
공지 기타 신문 잡지 보기
4163 자유글 프레임의 법칙
4162 자유글 시운 (時運) 과 천명 (天命)
4161 자유글
4160 자유글 친(親)에 담긴 의미
4159 자유글 심고 가꾼 만큼 거둔다
4158 자유글 인격자
4157 자유글 욕심으로 가려진 사람의 마음
4156 자유글 노추(老醜)와 화로(華老)
4155 자유글 알아야 면장을 하지
4154 자유글 얼굴(魂 .窟)
4153 자유글 짧은 인생에
4152 자유글 인생을 멋지게
4151 자유글 짧은 말 한마디
4150 자유글 인생팔미(人生八味)
4149 자유글 전분세락(轉糞世樂)
4148 자유글 알아야 할 인생의 15가지 사실
4147 자유글 삶의 비망록
4146 자유글 인생은 연주하는 음악처럼
» 자유글 어느 무명 참전 용사의 이야기
4144 자유글 노인의 모습에는 편안함이 있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