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prev 2024. 06 next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땀을 뻘뻘 흘리며, 아궁이에 장작 넣으랴  주걱으로 가마솥의 조청 저으랴

바쁜 와중에도 추실댁의 머릿속은 선반 위의 엿가락 셈으로 가득 찼다. 

아무리 생각해도 모를 일이다.

그저께 팔다 남은 깨엿 서른세가락을 분명 선반 위에 얹어 뒀건만

엿기름 내러 한나절 집을 비운 사이 스물다섯 가락밖에 남지 않았으니 이건 귀신이 곡할 노릇이다.
방에는 열한살 난 아들밖에 없고  그 아들은 앉은뱅이라서 손을 뻗쳐 봐야 겨우 문고리밖에 잡을 수 없는데

어떻게 엿가락이 축날 수 있단 말인가!

 

추실댁은 박복했다.
시집이라고 와 보니  초가삼간에 산비탈밭 몇마지기뿐인 찢어지게 가난한 집안에다

신랑이란게 골골거리더니 추실댁 뱃속에 씨만 뿌리고 이듬해 덜컥 이승을 하직하고 말았다.
장사를 치르고 이어서 유복자를 낳았다.

 

유복자 하나만 믿고 악착같이 살아가는데 두해가 지나고 세해가 지나도 유복자는 일어설 줄을 몰랐다.
앉은뱅이 유복자 다리를 고치려고  팔도강산 용하다는 의원을 찾아다니며

온갖 약재를 다 써 봤지만 괜한 밭뙈기만 날렸다.
할 수 없이 추실댁은 엿장수를 시작했다.

깨엿을 만들어 소쿠리에 담아 머리에 이고  이집 저집 다니며 엽전도 받고 곡식도 받으며 하루하루 살아왔다.

유복자는 걷지는 못해도 여간 똑똑한 게 아니었다.
여섯살 때 업어다 서당에 보냈더니 어찌나 총기가 있는지 천자문을 두달만에 떼고 사자소학을 석달만에 뗐다.
추실댁이 엿장수를 하느라 서당에 못 데려다 주자 집에서 독학한 글공부가 일취월장, 사서를 파기 시작했다.

추실댁은 먹고사는 게 급해 다른 걸 생각할 겨를이 없었다.
엿가락 수가 축난 건 그저께뿐이 아니다.

올여름 들어서 축나기 시작하더니 요즘은 부쩍 잦아졌다.
“나, 장에 갔다 올 테니 집 잘 보고 있거라.”

범인을 잡기 위해 추실댁은 삽짝을 나가 골목에서 발길을 돌려

열어 놓은 장지문을 통해  몰래 부엌으로 들어가 문구멍으로 안방의 동태를 살폈다.
그런데 이럴 수가!
앉은뱅이 유복자가 주머니에서 실에 묶인  사슴벌레를 꺼내더니 벽에 붙이자 

이놈이 단 냄새를 맡고 엉금엉금 기어올라 엿바구니에서 엿 한가락을 붙잡자

아들 녀석이 실을 잡아당기는 것이 아닌가.

그때 추실댁이 ‘쾅’ 문을 열고

“우와 머리 좋은 우리 아들 정승 판서 될 재주구나!” 고함치니 깜짝 놀란 아들이 입에 거품을 물고 자지러졌다.
그날의 충격 이후 얼마 지나지 않아 유복자는 성큼성큼 걷기 시작했고, 

몇년 후 장원급제 해 판서를 거쳐 정승의 반열에 올랐다. 

 

만약 그때 추실댁이  “에라, 이 도둑놈아”
그랬더라면 똑똑한 머리로 사기꾼 도둑이 되어 결국 말년에 참수를 당했을 것이다.
자식은 못 마땅해도 덕담으로 욕을 해야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공지 기타 컴퓨터로 TV보기 (종편 및 케이블방송)
공지 기타 신문 잡지 보기
4177 자유글 평범한 삶 속에서 깨닫는 진리
4176 자유글 자신의 삶에 만족을 느껴라
4175 자유글 인생은 다 바람 같은 거야
4174 자유글 세월은 그대를 기다려 주지 않는다
4173 건강 코로나19의 증상
4172 자유글 노년의 과거와 현재
4171 자유글 술(酒)의 예절
4170 자유글 마음을 씻는 글
4169 자유글 주옥같은 인생
4168 소식 조종대 동기생(통신) 타계
4167 자유글 인생의 맛
4166 자유글 자신의 거울
» 자유글 말이 씨가 되다
4164 건강 폐렴이 발생하는 이유
4163 자유글 프레임의 법칙
4162 자유글 시운 (時運) 과 천명 (天命)
4161 자유글
4160 자유글 친(親)에 담긴 의미
4159 자유글 심고 가꾼 만큼 거둔다
4158 자유글 인격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