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prev 2024. 05 next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정조시대의 심노숭(沈魯崇·1762~1837)의 자저실기(自著實紀)를 보면,

노인의 다섯 가지 형벌(五刑)과 다섯 가지 즐거움(五樂)에 대해 논한 대목이 흥미를 끈다.

 

먼저 다섯 가지 형벌에 관한 설명이다.

여선덕(呂善德)은 사람이 늙으면 어쩔 수 없이 다섯 가지 형벌을 받게 된다고 말했다.

 

1.보이는 것이 뚜렷하지 않으니 목형(目刑)이요.
2.단단한 것을 씹을 힘이 없으니 치형(齒刑)이며,
3. 다리에 걸어갈 힘이 없으니 각형(脚刑)이요.
4. 들어도 정확하지 않으니 이형(耳刑)이요.
5. 그리고 또 궁형(宮刑)이다.

 

눈은 흐려져 책을 못 읽고,

이는 빠져 잇몸으로 호물호물 한다.

걸을 힘이 없어 집에만 박혀 있고,

보청기 도움 없이는 자꾸 딴소리만 한다.

마지막 궁형은 여색을 보고도 아무 요동이 없다는 뜻이다.

 

여선덕(呂善德)의 이 말을 듣고 심노숭(沈魯崇)이 즉각 반격에 나선다.
이른바 노인의 다섯 가지 즐거움이다.

 

1. 보이는 것이 또렷하지 않으니 눈을 감고 정신을 수양할 수 있고,
2. 단단한 것을 씹을 힘이 없으니 연한 것을 씹어 위를 편안하게 할수 있고,
3. 다리에 걸어갈 힘이 없으니 편안히 앉아
힘을 아낄 수 있고,
4. 귀가 잘 들리지 않으니 나쁜 소문을 듣지 않아
마음이 절로 고요하고,
5. 여색을 보고도 거시기가 요동치지 않으니
패가망신 당할 행동에서 저절로 멀어진다.

이것을 다섯 가지 즐거움(五樂)이라고 하리라.

 

생각을 한번 돌리자,

그 많던 노화에서 오는 내 몸의 불행과 좌절이 더없는 은혜와 기쁨으로 변한다.

1. 눈을 감아 정신을 기르고,
2. 가벼운 식사로 위장을 편안케 한다.
3. 힘을 아껴 고요히 앉아 있고,
4. 귀에 허튼소리를 들이지 않으며,
5. 정욕을 거두어 장수의 기틀을 마련한다.

 

다가오는 五刑도 五樂으로 받아들이는 긍정적 자세가 중요한듯 하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공지 기타 컴퓨터로 TV보기 (지상파 및 종편)
공지 기타 신문 잡지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