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prev 2021. 04 next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늙는다는 것은 분명 서러운 일이다.

늙었지만 손끝에 일이 있으면 그런대로 견딜 만하다.

쥐고 있던 일거리를 놓고 뒷방 구석으로 쓸쓸하게 밀려나는 현상을

‘은퇴’라는 고급스런 낱말로 그럴듯하게 포장하지만, 뒤집어 보면

처절한 고독과 단절이 그 속에 숨어 있다.

그래서 은퇴는 더 서러운 것이다.

 

방콕(방안에 콕 처박혀 있는 상태)이란 단어가 은퇴자들 사이에 유행하고 있다.

세간에서는 그들을 화백(화려한 백수), 불백(불쌍한 백수),

마포불백(마누라도 포기한 불쌍한 백수) 등으로 나누고 있다.

 

그러나 화백이든 불백이든 간에 마음 밑바닥으로 흐르는 깊은 강의 원류는

‘눈물 나도록 외롭다.’는 사실을 한 치도 벗어날 수 없다.

화백도 골프 가방을 메고 나설 때 화려할 뿐이지

그들도 집으로 돌아오면 심적 공황상태인 방콕을 면치 못한다.

집단에 소속되지 못하고 지속적인 노동의 즐거움을 잃어버렸기 때문이다.

 

어제 진 태양은 오늘 다시 떠오르지만,

은퇴자들은 어제도 갈 곳 없었지만 오늘 역시 갈 곳이 없기는 마찬가지다.

이럴 때마다 다산 선생의 ‘독립’이란 시를 기억해 내곤 혼자 웃는다.

 

'대지팡이 짚고 절간에나 노닐까 생각다가

그냥 두고 작은 배로 낚시터나 가볼까 생각하네.

아무리 생각해도 몸은 이미 늙었는데

작은 등불만 예전대로 책 더미에 비추네.'
 

곰곰 생각해 보면 방콕이 獨樂(독락)으로 가는 지름길이 아닌가 생각된다.

영화나 책을 둘이 나란히 앉아서 본다고 두 사람이 함께 보는 것인가. 아니다.

나는 내 것을 보고 너는 네 것을 볼 뿐이다.

그래서 생애도 혼자서, 죽음도 홀로 맞는 것이다.

 

모든 위대한 것들은 모두 홀로이다.

태양이 그렇고 하느님이 그러하다.

태양에 암수가 있고, 아버지 하느님과 어머니 하느님이 함께 계신다고 가정해보면 알 것이다.

온리 원(only one)이란 고독이 얼마나 위대한 존재인가를….


경주 안강의 자옥산 기슭으로 낙향한 회재 이언적 선생도 독락당을 짓고

인고의 7년 세월을 외로움과 함께 버텨냈다.

사무치도록 외로웠기 때문에 담을 헐어낸 자리에 살창을 끼워

계곡의 물소리를 눈으로 들으면서 세월을 보냈다.

 

조선조 초의 학자 권근의 '독락당기'를 보면 홀로의 즐거움이 일목요연하다.

 

 '봄꽃과 가을달을 보면 즐길만한 것이지만

꽃과 달이 나와 함께 즐겨주지 않네.

눈 덮인 소나무와 반가운 빗소리도

나와 함께 즐기지 못하니

독락이라 해야 하지 않을까.

글과 시도 혼자 보는 것이며

술도 혼자 마시는 것이어서 독락이네….'

 

옛 선비들의 독락에는 다분히 풍류적인 즐거움이 서려 있지만

오늘의 백수들이 곧잘 읊조리는 '방콕'에는 궁상과 자탄이 한숨처럼 배어 있다.

강산과 풍월은 원래 주인이 없고 한가로운 사람이 바로 주인이라고 했으니

홀로 독락을 못 즐길 양이면 풍월의 주인이라도 될 일이다.

풍월 주인은 정년도 없고 은퇴도 없다.

‘문밖 나서니 갈 곳이 없네.’란 말은 입 밖에도 내지 말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공지 기타 컴퓨터로 TV보기 (종편 및 케이블방송)
공지 기타 신문 잡지 보기
4496 자유글 피그말리온 효과
4495 건강 건강한 삶을 누릴수 있는 음식
4494 자유글 내 마음의 빈배
4493 자유글 그래 그렇게 사는거야
4492 자유글 인생의 완성
4491 자유글 장무상망 (長毋相忘)
4490 자유글 아름다운 깨달음
4489 자유글 함께 가는 길
4488 자유글 다시 살아 볼수 없는 시간들
4487 자유글 후회 없는 아름다운 삶
4486 자유글 편견은 색안경과 같다
4485 자유글 긍정의 힘
4484 자유글 황당한 마라톤
4483 유머 나는 개(犬)올시다
4482 자유글 고통 속에서 웃음을 지켜내기
4481 자유글 우리들 인생은 이렇다네
4480 자유글 雪泥鴻爪 (설니홍조)
4479 자유글 톨스토이의 10훈
4478 자유글 진심이 닿다
4477 자유글 얀테의 법칙(Jante Law)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