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춘추 전국 시대에 '공무제' 라 하는 노나라 사람이 있었다.
그는 신부라는 고을의 원님으로 있었는데 덕있는 다스림 때문에 백성들이 편안히 살고 있었다.
어느 날, 이웃 제나라가 군사를 이끌고 쳐들어 온다는 소문이 들리자,
'공무제'는 모든 고을 백성들을 서둘러 성안으로 모이라고 하고는 성문을 닫아 버렸다.
그런데 문제가 생겼다. 성 밖 들판에 누렇게 익은 보리를 어떻게 해야 하는가 였다.
만일 그냥 성안으로 피해 들어간다면 제나라 사람들이 이것을 다 약탈해 갈 것이 뻔했기 때문이다.
백성들은 '공무제'에게 말했다.
“우리가 무조건 성안으로 피할 것이 아니라 고을 백성들로 하여금
내 것, 네 것 가릴 것 없이 보리를 추수해서 각각 가지라고 합시다.
그러면 너도 나도 달려 들어서 재빨리 추수할 것 입니다.
1년 동안 수고한 보리를 적에게 그냥 내줄 수는 없지 않습니까?"
그러나 '공무제'는 단호하게 안 된다며 보리를 그냥 버려두고 성안으로 피하라고 하여
결국 그 많은 곡식을 제나라 군사들이 다 거두어 가고 말았다.
이 문제로 '공무제'는 재판정에 서게 되었고 임금이 친히 문초를 하였다.
“너는 적이 오는 것을 뻔히 알면서도 왜 보리를 거두지 않고 적에게 이로운 짓을 했느냐?
거둘 수 없다면 차라리 불이라도 질러 버려야 하는 거 아니냐?"
임금의 말에 '공무제'가 정중하게 말했다.
“제가 한 순간 적을 이롭게 한 것은 사실입니다.
하지만 거기에는 그만한 이유가 있습니다.
상황이 어렵다고 해서 백성들로 하여금 남의 것을 마음대로 거두어 먹으라고 한다면
그들은 앞으로 피땀 흘려 살 생각은 안하고, 남의 것을 공짜로 얻을 생각만 하게 될 것입니다.
이렇게 공짜를 바라는 버릇은 10년이 가도 고칠 수가 없고
백성들이 이런 마음을 가진다면 이 나라는 어떻게 되겠습니까?”
임금은 '공무제'의 사려 깊은 뜻을 알고는 처벌 대신 후한 상을 내렸다고 한다.
공짜를 좋아 하는 사람을 '불한당(不汗黨)'이라고 부른다.
'汗'은 '땀 한' 자로 땀을 흘리기를 싫어한다는 뜻이다.
공짜에 맛을 들여놓으면 중독되어 공짜만 찾아 다니게 되고 일하는 것이 한심해 보인다.
'한 번만 잘하면 되는데... 뭘 그렇게 어렵게 땀을 흘리느냐?'며 빈정거리게 된다.
그래서 '불한당(不汗黨)'이 많은 나라는 필연 망할 수밖에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