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prev 2021. 09 next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송나라 학자 주신중(朱新中)은 사람이 살아가는 데

다섯 가지 계획이 있어야 한다는 "오계론(五計論)"을 펼쳤습니다.

 

오계(五計)

 

첫째. 생계(生計) : 참되게 살아가기 위한 계획,

즉 나는 무슨 일을 하고 어떻게 먹고 살아야 하는가? 하는 계획으로서

직업에 관한 계획과 준비입니다.

 

둘째. 신계(身計) : 병마, 부정에서 몸을 보전하는 계획,

즉 건강을 위한 관리와 계획입니다

내가 내 몸을 어떻게 관리해야 할까?

몸과 마음을 강건하게 하는 방법을 찾는 계획을 하는 것입니다.

 

셋째. 가계(家計) : 집안을 편안하게 꾸려가는 계획,

즉 가정을 어떻게 꾸려나갈 것인가?

경제적인 문제만이 아니라 사람과 신뢰와 정신적인 안정도 중요합니다.

그리고 부부관계, 부모 자식 관계, 형제 관계를 잘 맺어야 한다고 했습니다.

 

넷째. 노계(老計) : 멋지고 보람 있게 늙는 계획,

즉 이것은 노후관리라고 할 수 있습니다.

내가 나이가 들어서 무엇을 하다가 갈 것인가?

어떻게 건강 관리를 하고, 어떻게 경제 생활을 하며

자식과 사회에 부담이 되지 않을까 하는 계획입니다.

 

다섯째. 사계(死計) : 아름다운 죽음을 맞이하는 계획,

즉 마지막으로 사람은 죽음 이후에 대하여

분명하고 바른 계획이 있어야 한다고 했습니다.

 

특별히 다섯째인 사계(死計)에서 아름다운 죽음을 맞이할 계획을 세울 때

가장 중요한 것은 다섯 가지 인연과 작별하는 일이라고 얘기하는데
이를 오멸(五滅)이라고 말했습니다.

 

오멸(五滅)


첫째, 멸재(滅財) : 재물과 헤어지는 일입니다.

살아서 마련한 재산에 미련을 두고서는 편하게 눈을 감을 수가 없습니다.

재물에 대한 미련을 버리는 일이 멸재(滅財)입니다.

 

둘째, 멸원(滅怨) : 남과 맺은 원한을 없애는 일입니다.

살아서 겪었던 남과의 불미스러운 관계를 씻어내야 마음 편하게 눈을 감을 수 있습니다.

남과의 다툼이 있었다면 그 다툼에서 비롯된 원한을 씻어내는 일이 멸원(滅怨)입니다.

 

셋째, 멸채(滅債) : 남에게 진 빚을 갚는 일입니다.

빚이란 꼭 돈을 꾸어 쓴 것뿐 아니라 정신적으로 큰 도움을 받았다면 그것도 빚입니다.

살아있을 때 남에게 받았던 도움을 깔끔하게 갚는 일이 멸채(滅債)입니다.

 

넷째, 멸정(滅情) : 정든 사람, 정든 물건과의 작별하는 일입니다.

아무리 정들어도 함께 갈 수가 없고 가지고 갈 수가 없기 때문입니다.

정든 사람, 정든 물건과 작별하는 일이 멸정(滅情) 입니다.

 

다섯째, 멸망(滅亡) : 죽는 것이 끝이 아닙니다.

죽음 너머에 새로운 세계가 있음을 알아야 합니다.

죽음이 끝이 아니라는 신념이 멸망(滅亡)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공지 기타 컴퓨터로 TV보기 (종편 및 케이블방송)
공지 기타 신문 잡지 보기

소식 박현제 동기생(통신) 타계

자유글 실수는 되풀이된다 그것이 인생이다

자유글 육응기상(六應棄想)

자유글 인생

건강 60세 이후 버려야 할 7가지 습관

자유글 순간의 선택

자유글 가정을 살리는 생명의 씨

자유글 어둠속에 오래 서 있어보면

자유글 지혜 명언

자유글 장단상교(長短相較)

자유글 거저 얻는 것은 없다

자유글 지켜야 할 마음 5가지

자유글 그대 아는가, 빈손인 것을

자유글 종착역

건강 몸에서만 나오는 4가지 신기한 치료제

자유글 삶의 지혜

자유글 일사일언(一事一言)

자유글 세상에서 제일 나쁜 도둑

자유글 유대인의 시간법

자유글 사람의 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