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prev 2024. 03 next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갈 때 쉬고,

올 때 쉬고,

또 중간에 틈나는 대로 쉬고,

장자(莊子) 사상의 중요한 특징은 인생을 바쁘게 살지 말라는 것이다.

 

하늘이 내려준 하루하루의 삶의 그 자체로서 중히 여기고 감사하며 고마운 마음으로 살아야지,

하루하루를 마치 무슨 목적을 완수하기 위한 수단인 것처럼 기계적 소모적으로 대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장자(莊子)는 우리에게 인생에 있어서 '일'을 권하는 것이 아니라, 소풍을 권한 사람이다.

우리는 '일' 하러 세상에 온 것도 아니고, 성공하려고 세상에 온 것도 아니다.

그런 것은 다 부차적이고 수단적인 것이다.

우리 모두는 과거 생에 무엇을 잘 했는지 모르지만, 하늘로 부터 '삶'을 선물로 받은 것이다.

이 우주에는 아직 삶을 선물 받지 못한 억조창생의 '대기조'들이 우주의 커다란 다락방에 순번을 기다리고 있다.

그러나 최소한 우리는 이 삶을 하늘로부터 선물 받아 이렇게 지구에 와 있지 않은가.

 

삶을 '수단'시 하지 마라. 

'삶' 자체가 '목적'임을 알라.

이 '삶'이라는 여행은 무슨 목적지가 따로 있는 것이 아니라, 그 자체가 목적인 것이다.

 

그러니, 그대들이여! 

이 여행 자체를 즐겨라.

장자(莊子)가 말한 소요유(逍遼遊)란 바로 이런 의미이다.

 

인생이란 소풍이다.

무슨 목적이 있어서 우리가 세상에 온 것이 아니다.

하느님은 우리에게 소풍을 보내면서 단지 열흘짜리 휴가증을 끊어 주신 건데,

하느님 사는 중심우주와 우리가 사는 외각우주가 서로 흐르는 시간대가 달라 그것이 백 년이 된 것 뿐이다.

 

장자(莊子)가 말한 '소요유'에는 글자 어디를 뜯어봐도 바쁘게 조급한 흔적은 눈곱만큼도 찾아볼 수 없다.

"소(逍) 자는 소풍 간다는 뜻이고

"요(遼) 자는 멀리 간다는 뜻이며

"유(遊) 자는 노닌다는 뜻이다. 

즉 '소요유'는 멀리 소풍 가서 노는 이야기이다.

 

그러니 '소요유'를 제대로 하려면 내리 세 번을 쉬어야 한다.

갈 때 쉬고,

올 때 쉬고,

또 중간에 틈 나는 대로 쉬고... 

 

우리 여생의 종착역은 점차 가까워지고 있다.

우리의 인생은 짧다.

하루하루가 소중한 날들이다.

 

짐 진 자는 모두를 내려놓고, 동심으로 돌아가 소풍 온 듯  

쉬엄쉬엄 희희낙락 후회없이 즐겁게 살아야 한다.

한 박자 쉬면 삶의 여유는 두 배가 된다고 했다.

소풍 왔다가 빈손으로 돌아가는 길이 보배로운 길이 되고 보람 있었던 모두의 길이 되어야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공지 기타 컴퓨터로 TV보기 (지상파 및 종편)
공지 기타 신문 잡지 보기
5470 자유글 당신은 어느쪽인가
5469 자유글 물 흐르듯이 자연스럽게
5468 자유글 인생무상
5467 자유글 나를 지키는 법
5466 자유글 아름다운 인생을 위하여
5465 자유글 창승부기 미치천리 (蒼蠅附驥 尾致千里)
5464 자유글 공상으로 끝나다
5463 자유글 곱게 늙는 것은 축복입니다
5462 자유글 오랫동안 고마움을 간직하자
5461 자유글 다 바람 같은 거야
5460 자유글 죽음
5459 자유글 인생의 6대 잔고
5458 자유글 필요한 용기
5457 자유글 친구여 이렇게 사세
5456 자유글 천국과 지옥
5455 자유글 서로 위안이 되는 사람
5454 자유글 연애하듯 삶을 살아라
5453 자유글 한번뿐인 내 인생이니까
5452 자유글 인생은 두번 살지 못한다
5451 자유글 삶은 신선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