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prev 2025. 09 next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송나라 때 이지언(李之彦)은 동곡소견(東谷所見)에

"반후행삼십보(飯後行三步)요, 불용개약포(不用開藥包)이다"라고 했다.  

"식사 후 삼십 보를 걸으면, 약봉 지를 열 필요가 없다"는 뜻이다. 

 

식후 칠계명은 밥 먹은 후 일곱 가지를 명심하여 경계하라는 것으로

 

一誡(일계) : 식후에 담배를 피우지 말아야 한다.

식사 후에는 위장의 연동 운동이 늘어나고 혈액 순환이 빨라진다. 

그러므로 인체가 연기를 빨아들이는 능력 또한 늘어 나서 

담배 연기 속에 들어 있는 유독 물질이 더 많이 인체 내에 흡수되어 몸에 해를 끼친다. 

 

二誡(이계) : 식후에 바로 과일을 먹지 말아야 한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후식으로 과일을 먹으면 소화가 잘 될 것 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정반대로 식사 후에 바로 과일을 먹으면 뱃속이 부풀어 오른다. 

그리고 과일 속에 포함된 단당류(單糖類 : 포도당과 과당 따위) 물질이 위 속에 정체 되고

효소로 인해 발효되어 뱃속이 부풀어 오르고 부글부글 끓게 된다. 

과일은 식사 후 2~3시간이 지나서 먹는 것이 가장 좋으며, 

밥 먹기 한 시간 전에 먹는 것도 괜찮다고 합니다. 

 

三誡(삼계) : 식사 후에 허리띠를 풀지 말아야 한다.

허리띠를 늦추면 복강 내의 압력이 허리띠를 풀자마자 갑자기 떨어지며

소화기관의 활동이 증가 되고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커져

위하수(胃下垂)와 장폐색(腸閉塞)이 발생할 수 있다. 

 

四誡(사계) : 식사 후에 차를 마시지 말아야 한다.

찻잎에 있는 타닌이 음식물의 단백질과 결합해 소화하기 힘든 응고 물을 만든다. 

 

五誡(오계) : 식사 후에 많이 걷지 말아야 한다.

많이 걸으면 소화기 계통에 있던 피가 사지로 옮겨가기 때문에

음식물의 소화 흡수에 지장이 생긴다. 

 

六誡(육계) : 식사 후에 목욕하지 말아야 한다.

바로 목욕을 할 경우 소화기 계통에 있는 피가 줄어든다. 

그러므로 음식물의 소화 흡수에 지장을 초래한다. 

 

七誡(칠계) : 식사 후에 바로 잠을 자지 말아야 한다.

바로 잠을 자면 음식물이 위장 내에 머무는 시간이 길어져 소화 흡수에 지장을 초래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공지 기타 컴퓨터로 TV보기 (지상파 및 종편)
공지 기타 신문 잡지 보기
6085 자유글 세월따라 가는 인생
6084 자유글 마음을 새로운 것들로 채우면
6083 자유글 그냥 살다 갑니다
6082 자유글 잠시 왔다 가는 인생
6081 자유글 공자의 자절사(子絶四)
6080 자유글 인생의 목표
6079 자유글 말문은 닫고 지갑을 열어라
6078 자유글 인생은 메아리
6077 자유글 스쳐야 할 인연
6076 자유글 지나간 일들에 미련을 두지 말자
6075 자유글 당신은 누구를 태울 것입니까?
6074 자유글 함께 사는 세상
6073 자유글 '싸가지가 없다'의 뜻
6072 자유글 뒤집어 생각하면 만사형통
6071 자유글 세월은 쉬어가지 않는다
6070 자유글 인생사필(人生四必)
6069 자유글 삶은 소유물이 아니다
» 건강 식후 칠계명(食後 七誡命)
6067 자유글 친구의 종류
6066 자유글 노년 보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