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prev 2025. 10 next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인격 수양에 힘쓰고 남에게 관용을 베푸는 자세.

채근담(菜根譚)에 나오는 대인춘풍 지기추상(待人春風 持己秋霜)’의 줄인 말로,

남을 대할 때는 봄바람과 같이 부드럽게 하고,

자신을 대할 때는 가을 서리처럼 엄격해야 한다는 뜻이다.

자신의 인격 수양에 힘쓰고 남에게 관용을 베푸는 자세의 중요성을 강조할 때 쓰인다.

 

자신을 엄격히 대하며 인격 수양에 힘쓰고 남에게 관용을 베푼다면, 

여러사람 에게 존경을 받게 되고 미움을 사는 일이 없다는 뜻이다.

이와 같은 뜻의 사자성어로는 자신에게는 박하게 남에게는 후하게 한다는 뜻의 ‘박기후인(薄己厚人)’, 

남에게 자비로우면 적이 없다는 뜻의 ‘자비무적(慈悲無敵)’이 있다.

또한 남의 잘못을 관대하게 용서해주면 훗날 반드시 보답을 받게 된다는 뜻의 ‘절영지연(絶纓之宴)’, 

‘절영지회(絶纓之會)’와도 상통 한다.

 

춘풍 추상의 출전은 중국 명나라 말기 때의 문인 홍자성(洪自誠)이 지은 채근담(菜根譚)이다.

남을 대할 때는 봄바람과 같이 부드럽게 하고,

자신을 대할 때는 가을 서리처럼 엄격해야 한다는 뜻의 ‘대인춘풍 지기추상(待人春風 持己秋霜)’에서 유래한다.

 

한편, 이와 같은 관용의 자세는 동양에서 중요한 덕목으로 강조되어 여러 문헌 들에 기록되었다.

'명심보감(明心寶鑑)'「존심(存心)편에는 

“남을 책망하는 마음으로 자신을 책망하고, 자신을 용서하는 마음으로 남을 용서하라.

(以責人之心 責己 以恕己之心 恕人).”라는 표현이 있다.

 

또한 공자는《논어(論語)》'위령공(衛靈公)'편에서

“자신을 엄하게 책망하고 남을 가볍게 책망하면 원망이 멀어질 것이다(躬自厚而薄責於人 則遠怨矣).”라면서

갈등을 해결하고 화합의 길로 나가기 위해서는 관용의 자세가 중요함을 강조했다.

 

춘풍추상’(春風秋霜)은 중국 명나라때 문인 홍자성이 지은 <채근담(菜根譚)>에 나오는 말이다.

사람 관계에서 누구나 한결같이 좋게 지내는 사람을 ‘두루춘풍’ ‘사시춘풍’(四時春風) 같은 사람이라 부르기도 한다.

명나라 말기에 부패한 권력, 바닥난 국고 등 혼란한 시대에 저자는 참다운 사람의 길을 모색하고,

이 책을 통해 인생의 참된 뜻과 지혜로운 삶의 방식을 제시하고 있다.

 

‘하늘을 우러러 한 점 부끄럼 없이 청렴했노라’ 대답할 수 있는 공직자가 많을 때

비로소 공정한 사회라 말할 수 있다.

‘춘풍추상’을 적어놓고 ‘내로남불’이라 읽는 우매한 공직자가 더 이상 발 붙이지 못하는 사회가 됐으면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공지 기타 컴퓨터로 TV보기 (지상파 및 종편)
공지 기타 신문 잡지 보기
6284 자유글 감사 하는 삶 new
6283 자유글 아름다운 인생의 노을이고 싶다
6282 자유글 내가 머문자리는 아름답게
» 자유글 춘풍추상(春風秋霜)
6280 자유글 화가 풀리면 인생도 풀린다
6279 자유글 인생은 정답이 없다
6278 자유글 장수의 비결
6277 자유글 혼자 왔다 혼자 가는 인생
6276 자유글 돌고 도는 물레방아 인생
6275 자유글 감사하는 마음
6274 자유글 삶의 진짜 맛
6273 자유글 살만하니 떠나는게 인생이다
6272 자유글 삶에 지쳐
6271 자유글 만고의 진리
6270 자유글 해로동혈(偕老同穴)
6269 자유글 삶이란
6268 자유글 49 대 51의 법칙
6267 자유글 겸손은 마음의 향기이다
6266 자유글 노년에 해서는 안될 바보짓
6265 자유글 YO, Oldest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