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prev 2022. 03 next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오계(五計)와 오멸(五滅)

조회 수 543 추천 수 0 2013.05.03 20:10:26


                      오계(五計)



중국 송(宋)나라때 주신중(朱新仲)이라는 학자가

 인생 오계론을 주장했다고 합니다.

 인간이 한평생 살아가면서 다섯가지의
계획을 올바로 세워야 한다는 얘기입니다.

첫째는 생계(生計)입니다.


나는 무슨 일을 하고 어떻게 먹고 살아야 하는가?
하는 계획으로서 직업에 관한 계획과 준비입니다.

둘째는 신계(身計)라고 합니다.

요즈음 말로 하면 건강을 위한 관리와 계획입니다.
내가 내 몸을 어떻게 관리해야 할까?
몸과 마음을 강건하게 하는 방법을 찾는 계획을 하는 것입니다.

셋째는 가계(家計)입니다.

가정을 어떻게 꾸려나갈 것인가?
경제적인 문제만이 아니라 사람과 신뢰와 정신적인

안정도 중요합니다.그리고 부부 관계, 부모 자식 관계,

형제 관계를 잘 맺어야 한다고 했습니다.

넷째는 노계(老計)입니다.


이것은 노후관리라고 할 수 있습니다.
내가 나이가 들어서 무엇을 하다가 갈 것인가?
어떻게 건강 관리를 하고 어떻게 경제 생활을 하며,
자식과 사회에 부담이 되지 않을까 하는 계획입니다.

다섯번째는 사계(死計)라고 하였습니다.

마지막으로 사람은 죽음 이후에 대하여 분명하고
바른 계획이 있어야 한다고 했습니다.

安秉煜 숭실대 명예교수 / 生活 에세이 중에서


 

 

 

오멸(五滅)

이 주신중(朱新仲)의 인생 오계론(五計論)이 우리나라에 영향을
주면서 조선 중기에 전통 선비층을 중심으로 어떻게
해야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고 편안한 마음으로 맞을 수
있느냐는 사계(死計)문화가 번져 있었으며. 이 유행으로
나타난 것이 이른바 ‘오멸(五滅)’이라는 노후철학이었습니다.

첫째가 멸재(滅財)로

삶에 미련을 잡아두는 재물을 극소화해야

죽음이 편안해진다는 것이고,

둘째가 멸원(滅怨)으로

살아오는 동안 남에게 산 크고

작은 원한을 애써 풀어 버릴수록 죽음이 편안해지며,

셋째가 멸채(滅債)로

남에게 진 물질적 정신적
부채를 청산하는 일입니다.

넷째가 멸정(滅情)으로

정든 사람, 정든 물건으로부터
정을 뗄수록 죽음이 편해지며,

다섯째가 멸망(滅亡)인데

죽어서도 죽지 않고 산다
는 것입니다.

이 멸망은 ‘망하여 없어진다’는 뜻이 아니라

‘결딴나지 않게 한다’는 것으로 죽어서도
산 사람과 더불어 산다는 우리 제례 문화의 바탕을 말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공지 기타 컴퓨터로 TV보기 (지상파 및 종편)
공지 기타 신문 잡지 보기
149 유머 말장난 360가지
148 사진 스미소니언 매거진 2012 사진 콘테스트
147 유머 찢어진 콘돔
146 유머 엄마가 보는 자녀의 등급
145 유머 박장대소 사진모음
144 자유글 늙지 않는 비결
143 유머 뛰는 놈 위에 나는 놈 있다
142 유머 건망증도 가지가지
141 사진 아찔한 다리
140 유머 파가 다릅니다
139 유머 웃음소리 모음
138 유머 교통 표지판과 같은 우리인생
137 자유글 인생은 허무하다
136 사진 화려한 새들의 패션쇼
135 유머 확실한 처방전
134 기타 칠십대전후에 우리의 인생
133 기타 품바공연
132 사진 "아름다운 길" 사진전 입상작
131 유머 룸살롱 출신 앵무새
130 유머 어느 조상들의 신세 한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