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prev 2024. 05 next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태산이 높다 하되 하늘 아래 뫼이로다.

오르고 또 오르면 못 오를 리 없건마는

사람이 제 아니 오르고 뫼만 높다 하더라."

이 시조는 '양사언(楊士彦)'이 모든 일에 노력하면 안되는 일이 없다는 교훈 조의 글로만 알고 있었는데,

깊은 내력을 살펴 보니 처절하게 살다 가신 어머니를 그리는 글이었다는 해석이

''KBS 역사 이야기'' 에서 밝혀졌다 합니다.

 

"양사언과 그의 어머니"에 대하여 아는 사람들은 흔하지 않았습니다.

양사언의 아버지 ''양 민''이 전라도 '영광사또'로 부임해 내려가던 꽃피는 삼월 어느 날,

어느 고을을 지날 즈음, 농번기인지라 사람들이 없어 이집 저집을 둘러보는 중에

어느 한 집에서 소녀가 나와 공손하게 식사 대접을 하겠노라고 아뢰더랍니다.

 

그리고는 신관 사또가 거리에서 식사를 할 수 있겠느냐며 안으로 모시고는 부지런히 진지를 지어 올리는데

하는 태도나 말솜씨가 어찌나 어른스러우며 예의 바른지 사또는 너무나 기특하게 여기며,

조반을 잘 얻어 먹은 젊은 신관 사또 ''양 민''이 고마움에 보답을 하게 되는데...

 

신관 사또 '양 민'이 소매에서 부채 靑扇(청선)과 紅扇(홍선) 두 자루를 꺼내 소녀에게 건내면서,

그냥 전달하기가 멋적어 농담을 섞어

"이는 고마움으로 내가 너에게 채단 대신 주는 것이니 어서 받으라."

 

`'채단''이라 함은 결혼 전에 신랑 집에서 신부 집으로 보내는 청색 홍색의 옷감들이 아니던가요?

깜짝 놀란 소녀는 안방으로 뛰어가 장롱을 뒤져 급히 홍보를 가져와서 바닥에 깔고

靑扇(청선), 紅扇(홍선)을 내려 놓으라고 권합니다. 

어리둥절한 사또가 왜 그러냐고 묻자

"폐백에 바치는 채단을 어찌 맨손으로 받을 수 있겠습니까?" 라고 말합니다.

두 자루의 부채는 홍보 위에 놓여졌고, 소녀는 잘 싸서 안방으로 가지고 들어갔습니다.

 

세월이 흘러 사또 ''양 민''이 이런 저런 업무로 바쁜 나날을 보내고 있던 어느 날,

한 노인이 사또를 뵙자고 찾아 왔습니다.

"몇년 전 부임하실 때 어느 시골집에 들려 아침 식사를 하고 그집 소녀에게
靑扇(청선), 紅扇(홍선) 두 자루를 주고 가신 적이 있느냐?"고 묻자
사또는 조금 생각하다가 "그런 일이 있었고 생생하게 기억한다."고 말하며

아직도 고맙게 생각하고 있다고 답합니다.

 

노인은 그제서야 의문이 풀렸다는 듯, 고개를 끄떡이며,

"그러셨군요. 그 여식이 과년한 제 딸년인데 그 이후로 시집을 보내려 해도

어느 곳으로도 시집을 안 가겠다고 해서 영문을 몰라 이렇게 찾아 뵙게 되었습니다."

이 말을 들은 사또의 머리 속에 어떤 느낌이 스쳐지났는지는 모두 잘 느끼실 것입니다.

"그 정성이 지극하거늘 내 어찌 모른 척 할 수 있겠소. 날짜를 잡아 아내로 맞겠소."

 

식사 한끼 얻어 먹고 댓가로 부채 두 자루 선물했으면 밥값으로 충분할텐데,

졸지에 아내로 까지 맞이하게 되었으니 운명의 장난인가, 신의 축복인가?

어느 삼류 드라마 같은 이 이야기가 실제였답니다.

 

이 소녀가 바로 후에 '楊士彦'의 어머니가 되시는데,

중요한 내막은 사또에게는 정실부인이 있었고 이 부인과의 사이에 ''양사준''이라는 아들이 있었답니다.

그리고 후처, 즉 소실인 이 소녀와의 사이에 '士彦(사언)'과 '사기' 두 아들이 탄생한답니다.
''사준, 사언, 사기.'' 이 삼형제는 자라며 매우 총명하고 재주가 뛰어 났으며

풍채도 좋아 주변으로부터 칭송이 끊이질 않았다고 하며,

형제애가 깊어 중국의 ''소순, 소식, 소철'' 삼형제와 비교되기도 했다고 합니다.

 

정실부인이 죽고 모든 살림살이를 후처인 ''사언''의 어머니가 도맡아 하게 되고,

아들들을 훌륭하게 키웠으나, 아들들이 아무리 훌륭하면 무엇합니까? 서자들인데요.

이 소실부인의 서러움과 한탄은 적자가 아닌 서자를 낳았다는 것이었습니다.
그리고 이 소실부인의 꿈은 자기 아들들의 머리에서 서자 딱지를 떼 내는 일이었답니다.

 

남편 ''양 민''이 죽고 장례 날, 가족들이 모두 모인 자리에서 눈물을 흘리며 말합니다.
"양씨 가문에 들어와 아들을 낳았으며, 아들들이 재주가 있고 총명하며

풍채도 있거늘 첩이 낳았다 하여, 나라 풍습은 그들에게서 서자의 너울을 벗겨주지 않는다."

그러면서 장손인 적자 '양사준'에게 울면서 부탁하길
"첩이 또한 이 다음에 서모의 누를 가지고 죽은 후라도 우리 큰아드님께서는 석달 복 밖에 입지 않으실 터이니,

이리되면 그때 가서 내가 낳은 두 아들은 서자 소리를 면하기 어려울 것입니다.

그러니 내가 지금 영감님 성복 날 스스로 목숨을 끊으면, 복제가 혼돈하여 사람들이 모르게 될 것입니다.

내 이미 마음을 다진 몸이니 무엇을 주저 하오리까 마는 내가 죽은 뒤

''사언, 사기'' 두 형제한테 서자란 말로 부르지 않겠다고 약속하면,

죽어서도 기꺼이 영감님 곁에 누울 수 있겠습니다.”

 

그리고 바로 '양사언'의 어머니는 가슴에 품고 있던 단검을 꺼내 자결을 하고 말았답니다.

아들들이 그녀를 부둥켜 안았을 땐 이미 이 세상 사람이 아니었답니다.
자기 아들의 서자 멍에를 풀어주고 떳떳하게 세상을 살아가게 하고 싶었던 여인,
죽음으로써 부조리한 인간 차별을 타파하고 싶었었던 선구자적인 신여성,
이 어머니의 죽음은 ''양사언''이 더욱 훌륭한 문인이 되는데 자양분이 되었으며,
''楊士彦''은 후에 장원 급제하여 높은 관직에까지 오르게 되었답니다. 

 

어머니의 끝없는 사랑은 어디서 나오는 것일까요?
''양사언''은 ''만호 한석봉''과 ''추사 김정희''와 더불어 조선 3대 명 서예가이자 문인으로 전해옵니다.

''사언''의 호가 蓬萊(봉래)인데 ''사언''이 관직에 올라 지금의 ''철원 사또''로 부임하게 되고,

자연히 지척에 있는 금강산을 자주 찾아 금강산의 매력에 흠뻑 젖어 살게 되었더랍니다.
여름 금강산을 봉래산이라 불렀으니, 그래서 호를 蓬萊(봉래)라 했답니다.

 

금강산을 노래하고 금강산을 그린 사람이 어디 한둘이겠는가 마는,

얼마나 금강산을 사랑했으면 자기 호를 蓬萊(봉래)라 했겠습니까?

그의 작품에는 장기인 초서가 유감없이 드러나 활달 분방한 필세가 잘 나타나 있다 하며

[봉래산인(蓬萊散人)], [양사언인(楊士彦印)]의 도장 2과(顆)가 찍혀 있답니다.

 

"상여수반학 (霜餘水反壑)
 풍락목귀산 (風落木歸山)
 염염세화만 (冉冉歲華晩)
 곤충개폐관 (昆蟲皆閉關)

서리 녹아 내린 물 계곡으로 흘러가고,
바람에 진 나뭇 잎도 산으로 돌아가네.
어느덧 세월 흘러 한 해가 저물어 가니,
벌레도 모두 다 숨어 움추리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공지 기타 컴퓨터로 TV보기 (종편 및 케이블방송)
공지 기타 신문 잡지 보기
4326 유머 골프 국민헌장
4325 자유글 95%의 좋은 점을 보자
4324 자유글 아인슈타인의 명언
4323 유머 신 사자성어
4322 자유글 좌우명(座右銘)이란
4321 자유글 사랑의 힘으로 살아간다
4320 자유글 돈이 따라오게 하는 비법
4319 자유글 인생팔미(人生八味)
4318 자유글 좋은 친구가 필요할 때가 있습니다
» 자유글 양사언(楊士彦)의 어머니 이야기
4316 자유글 당신의 재능
4315 자유글 비전 상실 증후군
4314 자유글 화해의 기술
4313 자유글 별난 미국의 주 법률
4312 자유글 노생지몽(盧生之夢)
4311 유머 골프의 주체사상식 표현
4310 자유글 이건희 회장이 남긴 편지
4309 건강 건강 음식
4308 자유글 생활의 법칙
4307 자유글 인생은 선택이다